티스토리 뷰

반응형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10장 5절 복지용구 (32문항)

 

 

1~10번 문제

 

1. 다음 복지용구 중 구입품목은?

① 수동휠체어

② 이동욕조

③ 배회감지기

④ 수동침대

⑤ 욕창예방 방석

 

 

 

2. 다음 복지용구 중 대여품목은?

 

 

 

 

 

3. 요양급여로 구입 또는 대여가 가능한 복지용구는?

① 이동변기

② 성인용 보행기

③ 안전손잡이

④ 목욕의자

⑤ 욕창예방 매트리스

 

 

4. 화장실까지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 용변을 안전하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복지용구는?

① 안전손잡이

② 이동변기

③ 자세변환 용구

④ 보행기

⑤ 휴대용 경사로

 

 

 

5. 이동변기 선정 및 사용 시 고려할 사항은?

① 변기통은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② 팔걸이와 등받이가 없어야 한다.

③ 변기 한쪽 손잡이만 잡고 일어서도록 한다.

④ 물로 세척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⑤ 다리에 바퀴가 있어 이동이 편리하여야 한다.

 

 

 

6. 이동변기 선정 및 사용 시 주의사항은?

① 좌변기 시트에 올라서도록 한다.

② 이동변기의 높낮이가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③ 높이는 앉았을 때 발이 땅에 닿지 않아야 한다.

④ 사용하지 않을 때는 뚜껑을 열어두도록 한다.

⑤ 앉았을 때 무릎이 90도가 될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한다.

 

 

 

7. 이동이 불편한 대상자가 침대 등에서 용변을 해결하기 위해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복지용구는?

① 이동변기

② 보행차

③ 자세변환 용구

④ 간이변기

⑤ 휴대용 경사로

 

 

 

8. 간이변기 선정 시 고려사항은?

① 가정에서 간이변기는 높이가 높은 것이 좋다.

② 입구가 좁은 것이 좋다.

③ 열탕으로 소독할 수 있도록 내열성이 있어야 한다.

④ 뇨를 관찰할 필요가 있는 사람은 플라스틱제가 좋다.

⑤ 바퀴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9. 복지용구 사용방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요실금 팬티는 세탁 후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② 수동휠체어 발판의 높낮이가 고정되어야 한다.

③ 목욕리프트는 편안한 자세로 목욕할 수 있도록 등받이가 고정되어야 한다.

④ 미끄럼방지용품 사용 시 물수건으로 닦고 그 위에 설치한다.

⑤ 바퀴가 부착된 보행보조기는 잠금장치가 없어야 한다. 

 

 

 

10 수동 휠체어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타이어 공기압은 잠금장치 작동과 관계없다.

② 휠체어 보관할 때는 편 상태에서 보관한다.

③ 타이어 적정공기압은 엄지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0.5cm 정도 들어가는 상태이다.

④ 표면이 딱딱한 쿠션은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

⑤ 공기압이 낮으면 진동 흡수가 잘 안 된다.

 

 

 

11~20번 문제

 

11. 휠체어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낮은 경우(A)와 높은 경우 (B)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은?

  (A) (B)
잘 굴러가지 않는다 진동 흡수가 잘 되지 않는다
잠금장치 기능이 약해진다 이동이 쉽다
한쪽으로 쏠린다 브레이크 기능이 약해진다
진동 흡수가 잘 안 된다 잘 굴러간다
진동 흡수가 잘 안 된다 잘 굴러가지 않는다

 

 

 

 

12. 의자와 바구니가 달린 것이 특징이며 어느 정도 균형감각과 보행 능력이 있는 대상자에게 필요한 복지용구는?

① 안전손잡이

② 이동변기

③ 자세변환용구

④ 보행보조차

⑤ 휴대용 경사로

 

 

 

13. 뒤로 잘 넘어지는 사람이나 뇌졸중으로 반신마비가 된 사람은 오히려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에 신중해야 하는 복지용구는?

① 네발 지팡이

② 일반 보행기

③ 보행차

④ 한발 지팡이

⑤ 보행보조차(실버카)

 

 

14. 다음은 어떤 복지용구에 대한 설명인가? 

⊙ 작고 간단하고 가볍다
⊙ 다른 보조도구와 비교하여 균형감각 향상에 좋다
⊙ 지팡이 중 안정성은 가장 떨어진다.

 

① 한 발 지팡이

② 네발지팡이

③ 접이형 지팡이

④ 겨드랑이목발

⑤ 캐나디안 팔꿈치 신전목발

 

 

 

15. 일반 지팡이보다 기저면이 넓어 손이나 팔을 이용하여 체중을 지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팡이는?

① 네발지팡이

② T자형 지팡이

③ 접이형 지팡이

④ 겨드랑이목발

⑤ 캐나디안 팔꿈치 신전목발

 

 

 

16. 자주 왕래하는 장소에 손잡이를 달아 대상자의 자립성을 높여주는 용품은?

① 안전손잡이

② 보행차

③ 자세변환용구

④ 휴대용 경사로

⑤ 간이변기

 

 

 

17. 휠체어 이용하는 대상자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지용구는?

① 안전손잡이

② 보행차

③ 자세변환용구

④ 간이변기

⑤  경사로

 

 

 

18. 불편한 대상자를 목욕시킬 때나 머리를 감길 때 대상자의 자세유지와 간호하는 사람의 부담을 경감해 주기 위해 사용한 복지용구는?

 

 

 

 

19. 불편한 대상자의 머리를 감길 때 대상자 자세유지와 간호하는 사람의 부담을 경감해 주는 복지용구는?

① 목욕의자

② 안전손잡이

③ 이동변기

④ 미끄럼방지매트

⑤ 목욕리프트

 

 

 

 

 

 

 

 

 

20. 복지용구인 목욕의자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앉는 면이 높을 것

② 등받이가 낮을 것

③ 팔걸이가 없을 것

④ 의자 부분에 구멍이 없을 것

⑤ 기대어 앉아도 넘어지지 않을 것

 

 

 

21~32번 문제

 

21. 목욕의자 선정 시 고려사항은?

① 엉덩이 부위는 미끄러지는 재질일 것

② 앉은 상태에서 회음부를 씻길 수 있을 것

③ 다리 밑 부분은 굴러갈 수 있을 것

④ 소재는 금속 또는 목재가 이닐 것

⑤ 등받이와 의자 부분이 고정되어 있을 것

 

 

 

22. 목욕리프트 선정 및 사용 시 주의사항은?

① 물속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② 등받이 각도가 90도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③ 높낮이가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④ 대상자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⑤ 다리가 불편한 대상자가 목욕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

 

 

 

23. 이동욕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튜브에 공기를 반만 채워 사용한다.

② 두 사람을 함께 욕조에서 목욕시킨다.

③ 대상자가 욕조를 잡고 일어나게 한다.

④ 평평하고 이물질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한다.

⑤ 목욕 중 응급상황 발생 시 배수밸브를 열어서는 안 된다.

 

 

 

 

24. 압력을 분산하고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복지용구는?

① 전동침대

② 이동변기

③ 자세변환용구

④ 휴대용 경사로

⑤ 욕창예방 매트리스

 

 

 

25. 욕창예방 매트리스 선정 및 사용 시 주의사항은?

① 보온성, 통기성, 탄력성, 흡습성 등이 뛰어나야 한다.

② 열을 발산하는 찜질기와 함께 사용한다.

③ 매트리스 셀은 물로 씻어서는 안 된다.

④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와 같이 매트리스 위에 올라간다.

⑤ 대여만 가능한 복지용구이다.

 

 

 

26. 욕창예방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① 1주일에 한번 작동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한다.

② 대상자 외에 1인 이상이 동시에 사용한다.

③ 엉덩이 밑에 손을 넣어 매트리스 공기압을 확인한다.

④ 매트리스는 끓는 물에 소독한 후 말려 사용한다.

⑤ 매트리스 위에 찜질기를 깔아준다.

 

 

 

27. 자세변환 쿠션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① 커버는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② 변색과 탈색이 되지 않아야 한다.

③ 충전재는 커버 밖으로 나와 있어야 한다.

④ 마찰이 적은 소재로 잘 미끄러져야 한다.

⑤ 지퍼는 사용하기 쉽게 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28. 안전한 침대 사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침대 난간을 내려놓고 잠을 잔다.

② 잠금장치를 고정할 후 이동한다.

③ 크랭크 손잡이를 접어 둔다.

④ 이동 시 침대 난간을 잡고 움직인다.

⑤ 침대 난간에 의지하여 침대에 오른다.

 

 

 

 

29. 침대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전동침대의 조절 부위는 물로 깨끗이 세척한다.

② 부착된 식탁은 항상 펴 놓는다.

③ 침대난간에 몸을 지탱하여 침대에 오르내린다.

④ 사용 후 보관할 때는 상온에서 보관한다.

⑤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가장 높은 위치에 오도록 한다.

 

 

 

30. 침대 선정 및 사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① 낙상 방지를 위해 침대 난간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② 대상자가 침대난간에 기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③ 재주 사용하는 물건은 침대 가까이 두지 않는다.

④ 매트리스 커버는 흐르는 물로 씻거나 세탁하여 말린다. 

⑤ 습기가 있는 상온에서 보관한다.

 

 

 

31. 배회감지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위성항법장치형(GPS) 배회감지기는 침대 또는 바닥에 설치한다.

② 배회감지기는 주 1회 이상 물로 세척하여 사용한다.

③ 배회감지기가 오작동하면 공단에 신고한다.

④ 매트형 배회감지기는 현관에 설치한다.

⑤ GPS 배회감지기는 대상자의 위치를 핸드폰으로 알려준다.

 

 

 

 

32. 치매증상이 있거나 배회 또는 길 잃음 등 문제행동을 보이는 치매 대상자의 실종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복지용구는?

 

 

 

 

 

 

 

 

 

 

정답확인

1.⑤ 2.① 3. ⑤ 4.② 5.④
6.⑤ 7.④ 8.③ 9.① 10.③
11.① 12.④ 13.③ 14.① 15.①
16.① 17.⑤ 18.④ 19.① 20.⑤
21.② 22.④ 23.④ 24.⑤ 25.①
26.③ 27.② 28.③ 29.④ 30.④
31.⑤ 32.①      

 

 

 

 

 

반응형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