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2장 3절 요양보호 업무 (34문항)
1~10번 문제
1. 요양보호 업무의 목적은?
①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② 대상자의 신체기능 증진
③ 가족 중심의 서비스 제공
④ 대상자의 시설입소 유도
⑤ 일자리 장보제공 및 알선
2. 식사, 배설, 수면 욕구는 매슬로우 욕구 5단계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① 생리적 욕구
② 안전의 욕구
③ 사랑·소속의 욕구
④ 자기 존중의 욕구
⑤ 자아실현의 욕구
3. 신체적·정신적 고통이나 위험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는?
① 생리적 욕구
② 안전의 욕구
③ 사랑·소속의 욕구
④ 자기 존중의 욕구
⑤ 자아실현의 욕구
4.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내용 중 신체활동지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외출 시 동행
② 일상업무 대행
③ 기본동작 훈련
④ 일상생활동작 훈련
⑤ 신체기능의 유지증진
5.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내용 중 가사 및 일상생활지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식사준비, 세탁
② 입욕준비, 몸 씻기
③ 말벗, 격려, 의사소통 도움
④ 인지행동 변화관리
⑤ 침구·린넨 교환 및 정리, 환경관리
6. '일상생활 함께하기'는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중 어느 분류에 해당하는가?
① 신체활동 지원
② 가사 및 일상생활지원
③ 인지지원
④ 정서지원
⑤ 건강 및 간호관리
7.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내용 중 시설환경관리지원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
① 린넨 교환
② 생활 상담
③ 방문 목욕
④ 외출 시 동행
⑤ 기본동작 훈련
8.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내용 중 정서지원,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것은?
① 세탁
② 생활상의 문제상담
③ 방문목욕
④ 외출 시 동행
⑤ 기본동작 훈련
9.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분류 중 요양보호사의 업무에서 제외되는 것은?
① 기능회복훈련
② 인지지원
③ 정서지원
④ 방문목욕
⑤ 신체활동지원
10. 재가대상자가 명절 음식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할 때 대처법은?
① 그냥 무시한다.
② 기본적인 요리를 제외한 명절 음식 차리기 등은 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③ 다른 가족이 없으면 요구사항을 들어준다.
④ 대가를 받고 해 준다.
⑤ 당연한 서비스 내용이기 때문에 들어준다.
11. 대상자가 냉장고 안에 있는 유효기간이 지난 식품을 버리지 못하게 할 때 대처 방안은?
① 대상자의 건강을 위해 대상자 몰래 버린다.
② 먼저 버리고 대상자 가족에게 사후 사실을 말한다.
③ 대상자의 요구대로 버리지 않는다.
④ 대상자와 함께 냉장고 내부를 정리 정돈한다.
⑤ 의료진에게 알린다.
12. 외출 시 대상자가 요양보호사 차량을 이용하려고 한 경우 대처 방법은?
① 차량이용 시 요양보호사가 사고예방을 위해 대상자 옆에 있어야 함을 설명한다.
② 윗좌석에 안전띠를 착용하고 승차시킨다.
③ 시설장에게 보고하고 동승하도록 한다.
④ 동승시키고 수가를 추가로 계산한다.
⑤ 동료에게 도움을 청한다.
13. 대상자가 아들과 며느리 이야기, 집안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 험담할 때 요양보호사의 대처 방안으로 옳은 것은?
① 이야기를 들어주되 가족관계에 깊이 관여하지 않는다.
② 이야기를 들어주고, 옳고 그름을 판단해 준다.
③ 이야기를 들어주고 가족관계에 관여하여 해결방안을 강구한다.
④ 가족관계 관여는 요양보호사의 역할이 아니라고 대상자를 이해시킨다.
⑤ 이야기를 듣고 그 사실을 가족들에게 알려준다.
14. 재가노인에게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할 때 옳은 것은?
① 재가노인의 생활습관과 사고를 존중한다.
② 요양보호사는 필요한 요양도구가 없으면 자비로 구매한다.
③ 헌신적 태도를 보이고 재가노인의 무리한 요구도 다 들어준다.
④ 요양보호서비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⑤ 재가노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이송병원에 관련 기록을 인계하지 않는다.
15. 방문요양 시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제공원칙으로 옳은 것은?
① 장보기를 통해 대상자에게 육개장을 끓여 주었다.
② 대상자의 남편 제사상을 차려주었다.
③ 세탁기에 대상자 가족의 빨래도 함께 넣고 돌렸다.
④ 대상자 집 정원에 잡초가 많아서 뽑아 주었다.
⑤ 대상사가 상담을 요청할 때는 상담비를 따로 받는다.
16. 요양보호사가 준수하여야 할 요양보호서비스 제공원칙은?
① 대상자의 상태와 관계없이 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② 예기치 못한 사고는 시절장에게 보고하지 않는다.
③ 대상자와 동거하는 가족의 식사준비도 함께 해준다.
④ 대상자가 요구하면 당뇨 검사를 해준다.
⑤ 서비스제공 전에 대상자와 가족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파악한다.
17. 요양대상자가 "내 약 사서 올 때 우리 손자 연필도 좀 사다 줘"라고 말할 때 요양보호사의 행동을 옳은 것은?
① 시키는 대로 다 해준다.
② 시설장의 허락을 받고 사다 준다.
③ 요양보호사 서비스 원칙을 설명하고 사다 주지 않는다.
④ 업무 외의 일이므로 추가 비용을 받고 사다 준다.
⑤ 업무 외의 일이므로 하지 않는다.
18. 시설입소 대상자에 대한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① 적합하지 않은 생활습관은 입소 초기에 바꾼다.
② 적응될 때까지 혼자서 지내도록 한다.
③ 시설의 의견을 우선으로 서비스 내용을 결정한다.
④ 다른 시설로 옳기는 경우 대상자의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⑤ 동기를 유발하여 잠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한다.
19. 재가노인에게 요양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때 고려할 사항은?
① 대상자가 원하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
② 대상자의 생활습관을 요양보호사에게 맞추도록 권한다.
③ 서비스의 관련된 복지 용구가 없는 대상자에게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④ 가정에서 요양시설로 입소 시 사생활 존중을 위해 개인과 관련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⑤ 대상자가 장애가 있더라도 생활의 주체자로 인정하여 요구가 충족되도록 돌본다.
20.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할 때 고려사항은?
① 대상자와의 수직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② 대상자의 성격과 습관은 파악할 필요가 없다.
③ 대상자에게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처치보다 의료기관 이송을 우선한다.
④ 요양보호서비스는 요양보호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⑤ 대상자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한다.
21~30번 문제
21. 요양보호사가 일상생활지원 시 기본원칙을 지킨 경우는?
① 가족의 욕구를 우선 반영한다.
② 위생을 위해서 일회용품을 주로 사용한다.
③ 대상자의 생활습관 및 방법을 존중하여 진행한다.
④ 생활용품은 가족의 동의를 얻어 사용한다.
⑤ 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다.
22. 요양보호사의 업무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대상자의 남편의 제사음식 준비
② 대상자에 대한 관장 실시
③ 대상자 가족들의 식사준비
④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가족들로부터 파악
⑤ 대상자의 유치도뇨관 제거
23. 요양보호사의 요양보호서비스 제공원칙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와의 대등한 관계를 형성한다.
② 대상자와 의견 상충 시 요양보호사 임의로 처리한다.
③ 대상자로부터 물질적 보상은 반드시 받는다.
④ 의견이 서로 다르더라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⑤ 학대를 목격하면 요양보호사가 임의 처리한다.
24. 다음 중 요양보호사의 업무에 해당한 것은?
① 비위관 삽입
② 도뇨
③ 흡인
④ 경구약 복용 돕기
⑤ 유치도뇨관 교환
25. 요양보호사의 정당한 업무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본인부담금 일부를 감경해 주었다.
② 돈을 받고 수급자를 기관에 소개해 주었다.
③ 노인의 얼굴에 있는 상처를 보고 결찰에 신고하였다.
④ 수급자에게 비급여대상의 비용을 할인해 주었다.
⑤ 업무수행 중 알게 된 개인비밀을 시설장에게 보고하였다.
26. 다음은 요양보호사의 어떠한 역할인가?
⊙ 맥박, 호흡, 체온, 혈압 등의 변화와 투약 여부 확인
⊙ 질병의 변화에 대한 증상, 심리적인 변화 확인
① 정보전달자
② 관찰자
③ 숙련된 수발자
④ 말벗과 상담자
⑤ 동기 유발자
27. 대상자의 신체적·심리적인 정보를 가족, 시설장 등에게 전달하는 요양보호사 역할은?
① 정보전달자
② 관찰자
③ 숙련된 수발자
④ 말벗과 상담자
⑤ 동기 유발자
28. 다음은 요양보호사의 어떠한 역할인가?
⊙ 급여서비스 제공 계획서 내용 숙지
⊙ 서비스 내용변경이 필요할 때 기관에 보고
① 정보전달자
② 관찰자
③ 숙련된 수발자
④ 말벗과 상담자
⑤ 옹호자
29. 요양보호사의 역할(A)과 관련 내용(B)이 옳게 연결된 것은?
A | B | |
① | 관찰자 | 필요한 서비스 연계 |
② | 옹호자 | 차별받는 대상자 지지 |
③ | 정보전달자 | 직접 서비스 제공 |
④ | 동기유발자 | 질병의 증상 확인 |
⑤ | 숙련된 수발자 |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
30. 다음은 요양보호사의 어떠한 역할인가?
⊙ 효율적인 의사소통 기법을 활용하여 대상자와 관계를 형성하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제공
⊙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안위 도모
① 정보전달자
② 관찰자
③ 숙련된 수발자
④ 말벗과 상담자
⑤ 동기 유발자
31~34번 문제
31. 재가대상자에게 일상업무를 지원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텃밭의 잡초를 제거해 주었다.
② 생일잔치 음식을 만들어 준다.
③ 대상자 집에 방문한 손자 공부를 시켜주었다.
④ 은행에 가서 대상자의 공과금을 내준다.
⑤ 외출동행 시 요양보호사의 차량으로 이동한다.
32. 대상자가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기회를 주고 격려해 주는 요양보호사의 역할은?
① 옹호자
② 관찰자
③ 숙련된 수발자
④ 말벗과 상담자
⑤ 동기 유발자
33. 대상자의 입장에서 편들어 주고 지켜주는 요양보호사 역할은?
① 정보전달자
② 관찰자
③ 숙련된 수발자
④ 말벗과 상담자
⑤ 옹호자
34. 다음 중 수급자가 요양보호사에게 요구할 수 있는 것은?
① 수급자의 가족을 위한 식사준비
② 가족을 위한 관공서 등 업무지원
③ 수급자의 부업에 참여하기
④ 수급자의 텃밭 매기
⑤ 수급자의 맥박, 호흡의 변화 관찰하기
정답확인
1.② | 2.① | 3.② | 4.⑤ | 5.① | 6.③ | 7.① |
8.② | 9.① | 10.② | 11.④ | 12.① | 13.① | 14.① |
15.① | 16.⑤ | 17.③ | 18.⑤ | 19.⑤ | 20.⑤ | 21.③ |
22.④ | 23.① | 24.④ | 25.③ | 26.② | 27.① | 28.① |
29.② | 30.④ | 31.④ | 32.⑤ | 33.⑤ | 34.⑤ |
'요양보호사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 필기시험 예상문제 /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0) | 2024.02.26 |
---|---|
요양보호사 자격시험 기출문제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0) | 2024.02.24 |
요양보호사 자격시험 기출문제 / 노인의 인권보호 (0) | 2024.02.22 |
요양보호사 자격시험 출제예상문제 / 노인학대 예방 (0) | 2024.02.22 |
요양보호사 필기예상문제 /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