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10장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38문항)

 

 

1~10번 문제

 

 

1. 음식을 제공할 때 영양부족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대상자는?

① 연하곤란 대상자

② 시각장애 대상자

③ 청각장애 대상자

④ 백내장 대상자

⑤ 흡연 대상자

 

 

 

2. 노인의 영양부족 시 나타나는 증상은?

① 상처회복 지연

② 체중 증가

③ 신체기능 향상

④ 식욕촉진

⑤ 약물사용

 

 

 

3. 노인의 영양관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첨가당 음료는 대사증후군을 예방한다.

② 포화지방 과량 섭취는 심혈관질환을 예방한다.

③ 곡류 섭취를 통해 두뇌활동을 활발하게 해 준다.

④ 콩 대신에 육류의 섭취량을 늘리면 퇴행성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⑤ 식사 때다마 절인 생채소를 반찬으로 먹는다. 

 

 

4. 다음에서 설명한 식사 종류는?

º 저작능력이 떨어져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먹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제공
º 부드럽게 조리하거나 잘게 썰어 저작하기 편한 형태로 제공

 

① 일반식

② 저작 도움식

③ 경구 유동식

④ 경관 유동식

⑤ 연하 도움식

 

 

 

5. 다음에서 설명한 식사종류는?

º 저작과 연하 능력이 떨어져 씹고 삼키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제공한다.
º 고형상 음식을 부드럽게 갈아서 제공하거나 액체는 증점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높여 목 넘김을 좋게 하여 제공한다.

 

① 일반식

② 저작 도움식

③ 경구 유동식

④ 경관 유동식

⑤ 연하 도움식

 

 

 

6. 다음에서 설명한 식사종류는?

º 대상자가 음식 맛을 느낄 수 있으므로 대상자의 입맛에 맞게 준비하고 너무 차거나 뜨겁지 않게 제공한다.
º 연하능력에 따라 유동식(액상)을 그대로 제공하거나 증점제를 넣어 점도를 조절하여 제공한다.

 

① 일반식

② 저작 도움식

③ 경구 유동식

④ 경관 유동식

⑤ 연하 도움식

 

 

 

7. 연하 능력이 없고 의식장애가 있을 때 비위관을 통하여 제공하는 음식의 종류는?

① 일반식

② 저작 도움식

③ 경구 유동식

④ 경관 유동식

⑤ 연하 도움식

 

 

 

8. 식탁의자에 앉아 식사하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①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앉게 한다.

② 대상자를 의자 앞쪽 끝부분에 걸터앉게 한다.

③ 식탁의 윗부분이 대상자의 가슴 높이에 오게 한다.

④ 의자를 식탁에 가까이 붙여 팔을 식탁 위에 올리게 한다.

⑤ 대상자의 발가락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한다.

 

 

 

9. 식탁에 앉아 있는 대상자의 식사 돕기를 할 때 식탁의 높이는?

① 턱 밑

② 가슴과 목 사이

③ 가슴과 배꼽 사이

④ 허리와 무릎 사이

⑤ 다리 위

 

 

 

10. 침대에서 음식을 제공할 때 대상자가 일어나거나 앉을 수 없는 경우 침대의 높이는?

① 90˚ 높인다

② 수평으로 해준다.

③ 약 60~90˚ 높인다.

④ 약 30~60˚ 높인다.

⑤ 수직으로 높인다.

 

 

11~20번 문제

 

11. 시설대상자의 식사자세로 옳은 것은?

① 의자에 앉았을 때 뒤로 젖히는 자세로 한다.

② 편마비 대상자는 건강한 쪽에 쿠션을 대준다.

③ 의자에 앉을 때는 건강한 쪽에 쿠션을 대준다.

④ 침대에 걸터앉으면 바닥에 닿지 않으면 받침대를 받쳐준다.

⑤ 의자는 팔 받침, 등받이가 없는 것이 좋다.

 

 

 

12. 대상자가 식사할 때 올바른 자세는?

① 식탁과 가슴의 높이가 일치하게 한다.

② 편마비 대상자는 건강한 쪽을 밑으로 한다.

③ 식탁의 팔걸이가 없는 것이 좋다.

④ 발바닥이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이 좋다.

⑤ 의자에 앉았을 때 턱을 약간 들고 앉는다.

 

 

 

 

13. 편마비 대상자가 신맛이 강한 음식을 먹으면 안 되는 이유는?

① 음식물이 역류하여 구토할 수 있으므로

② 장운동이 촉진되어 설사할 수 있으므로

③ 위산 분비가 많이 되어 위통이 생길 수 있으므로

④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⑤ 침 분비가 많아져 사레가 들 수 있으므로

 

 

 

14. 누워있는 대상자의 사레예방을 위해 주의할 점은?

① 삼키기 쉽도록 편안하게 누운 자세가 좋다.

② 입안에 음식물이 있어도 계속 준다.

③ 식사 전에 물로 입을 축이고 음식을 먹게 한다.

④ 식사 전에 물로 입을 축이고 음식을 먹게 한다.

⑤ 위와 가습을 압박하는 옷과 침구를 준비한다.

 

 

 

15. 대상자가 "식사할 때 자꾸 사레가 걸려요"라고 할 때, 요양보호사의 대처방법은?

① 짠 음식을 제공한다.

② 뜨거운 음식을 제공한다.

③ 턱을 들고 식사하도록 한다.

④ 가슴을 압박하는 옷을 입도록 한다.

⑤ 음식을 먹을 때 질문을 하지 않는다.

 

 

 

16. 대상자가 입맛이 없다고 할 때 식사를 돕는 방법은?

① 한 가지 음식만 제공한다.

② 식사 전에 과자류를 제공한다.

③ 먹고 싶어 할 때까지 음식을 치워둔다.

④ 음식을 큰 그릇에 가득 담아 제공한다.

⑤ 반찬의 색깔을 보기 좋게 담아 내놓는다.

 

 

 

17. 대상자에게 음식 제공 시 사레와 질식 예방을 위해 피해야 할 음식은?

① 점도가 낮은 음식

② 잘 부서지는 음식

③ 자극이 없는 음식

④ 수분 있는 음식

⑤ 신맛이 없는 음식

 

 

18. 음식물을 삼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은?

① 수시로 말을 걸어 음식을 천천히 삼키게 한다.

② 식사 중간에 물을 자주 마시게 한다.

③ 음식의 원래 모양을 알 수 없을 정도로 갈아서 제공한다.

④ 머리와 목을 약간 뒤로 젖혀 음식을 삼키게 한다.

⑤ 식전에 신맛이 강한 음료를 준다.

 

 

 

 

 

 

 

19.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음식을 삼킬 수 있도록 머리를 젖힌다.

② 숟가락 끝부분을 입술 옆쪽에 대고 숟가락 손잡이를 머리 쪽으로 약간 올려 음식을 먹인다.

③ 식사 후 바로 눕도록 한다.

④ 수분이 적은 음식은 삼키기 쉽다.

⑤ 음식을 먹는 도중 질문을 자주 하여 소화를 돕는다.

 

 

 

20. 누워있는 왼쪽 편마비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똑바로 누인 채 고개를 왼쪽으로 돌린다.

② 오른쪽 입안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③ 오른쪽 허리를 쿠션으로 받쳐 지지해 준다.

④ 숟가락 끝을 오른쪽 입술에 대고 음식을 넣어준다.

⑤ 왼쪽을 밑으로 하여 옆으로 눕힌다.

 

 

21~30번 문제

 

 

21. 오른쪽 편마비 대상자가 침상에서 식사할 때 편안한 자세를 잡도록 돕는 방법은?

① 침상에 앉히기 어려우면 똑바로 눕힌다.

② 상체를 세운 후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려준다.

③ 오른쪽 상체를 베개나 쿠션으로 지지해 준다.

④ 침상테이블에 오른팔을 올려주고 똑바로 앉힌다.

⑤ 오른쪽을 밑으로 하여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한다.

 

 

 

22. 대상자의 식사를 도울 때 옳은 방법은?

① 편마비 대상자는 마비된 쪽에서 넣어준다.

② 조명을 어둡게 하여 편안하게 한다.

③ 대상자가 오른손잡이라면 왼쪽에서 밥을 먹여줘야 편안하게 느낀다.

④ 대상자보다 높은 곳에서 음식물을 입에 넣어준다.

⑤ 마비된 쪽 입안에 음식 찌꺼기가 남기 쉬우므로 구강관리를 한다.

 

 

 

23. 대상자의 연하곤란 증상을 확인하는 방법은?

① 평소 침을 잘 흘리지 않는다.

② 잘 씹는다.

③ 음식물 먹을 때 딸꾹질을 한다.

④ 음식을 바로 삼킨다.

⑤ 음식을 삼킨 후 재채기와 기침이 사라진다. 

 

 

 

24.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에 대해 옳게 설명한 것은?

① 어떤 음식이 나왔는지 대상자에게 미리 알려주면 사레가 들 수 있다.

② 누워있는 상태일 경우 가능한 한 그 상태를 유지한다. 

③ 빨대 사용 시 굵은 빨대를 이용하여 스스로 마시게 한다.

④ 숟가락을 위쪽에서 입으로 가져간다.

⑤ 가능하면 식사 후 바로 누울 수 있도록 한다.

 

 

 

25. 대상자의 식사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와 마주 보고 앉는다.

② 다 삼키기 전에 음식을 입에 넣어준다.

③ 숟가락 가득 음식을 떠준다.

④ 숟가락 뒤쪽을 약간 올려 음식을 먹인다.

⑤ 끈적거리는 음식을 제공한다.

 

 

 

 

26. 대상자에게 경관영양을 해야 하는 경우는?

① 대상자가 의식이 있을 때

② 대상자가 먹는 것을 거부할 때

③ 얼굴 수술로 음식 먹기가 힘들 때

④ 연하곤란이 없을 때

⑤ 치매증상이 있을 때

 

 

 

27. 경관영양은 관을 코에서 어디까지 삽입하여 영양식을 제공하는 것인가?

① 구강

② 식도

③ 위

④ 십이지장

⑤ 소장

 

 

 

28. 요양보호사의 경관영양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① 입안을 청결히 하고 입술보호제를 발라준다.

② 비위관이 빠지면 천천히 밀어 넣는다.

③ 구토하면 영양액 주머니를 높여준다.

④ 영양액은 실온보다 낮은 온도로 준비한다.

⑤ 비위관이 새거나 영양액이 역류하면 비위관을 제거한다.

 

 

 

 

29. 경관영양을 하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영양액 주머니를 위장보다 높은 위치에 건다.

② 청색증이 나타나면 주입속도를 늦춘다.

③ 토하면 바로 비위관을 제거한다.

④ 영양액을 분당 150ml가 들어가도록 주입한다.

⑤ 영양액 주머니를 하루에 한 번 세척하여 말린다. 

 

 

 

30. 경관영양 시 비위관 주입이 너무 빠를 경우 생길 수 있는 것은?

① 변비

② 부종

③ 오한

④ 설사

⑤ 변실금

 

 

30~38번 문제

 

 

31. 비위관으로 영양액을 제공받은 대상자가 설사를 계속할 때 주의해서 관찰해야 하는 것은?

① 탈수

② 부종

③ 구토

④ 고혈압

⑤ 소변량 증가

 

 

32. 경관 영양액이 주입되고 있는 대상자가 토하거나 청색증이 나타날 때 올바른 대처방법은?

① 심호흡하게 한다.

② 천천히 주입한다.

③ 머리 쪽을 발끝보다 낮게 한다.

④ 비위관을 잠금 후 바로 시설장이나 관리책임자 등에게 알린다.

⑤ 잠시 주입을 멈추었다가 계속 주입한다.

 

 

 

33. 경관영양 시 영양액을 차갑게 주입할 경우 나타나는 증상은?

① 통증이 유발된다.

② 영양액이 상할 수 있다.

③ 영양액이 역류한다.

④ 탈수가 유발할 수 있다.

⑤ 차갑게 주입하는 것이 정상이다.

 

 

 

34. 경관영양을 하는 대상자에게 계속해서 영양액을 주입해도 되는 경우는?

① 오심이 있는 경우 

② 청색증이 있는 경우

③ 구강건조가 있는 경우

④ 구토증상이 있는 경우

⑤ 호흡곤란을 보이는 경우

 

 

 

35. 스스로 식사할 수 없는 대상자의 경관영양을 돕는 방법은?

① 영양액은 체온보다 낮은 온도로 준비한다.

② 대상자를 앉게 하거나 침상머리를 올린다.

③ 관이 막히지 않도록 영양액을 빠르게 주입한다.

④ 주입 중 영양액이 역류되면 비위관을 제거한다.

⑤ 주입 후 대상자를 잠시 누워있게 한다.

 

 

 

36. 경관영양 시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가 의식이 없어도 식사 시작과 끝을 알린다.

② 영양액을 위장보다 낮은 위치에 건다.

③ 대상자를 앉게 하거나 침상머리를 내린다.

④ 청색증이 나타나면 주입되던 비위관을 그대로 두고 시설장 등에게 알린다.

⑤ 경관 영양 주입 후 대상자를 바로 눕도록 한다.

 

 

 

37. 경관영양 시 대상자의 상체를 높이고 오른쪽으로 눕히는 이유는?

① 영양액이 중력에 의해 흘러 들어가게 하려고

② 영양액의 주입속도 조절을 위해

③ 비위관 고정을 위해

④ 비위관이 새지 않게 하려고

⑤ 영양액의 온도 조절을 위해

 

 

 

 

38. 경관영양에서 대상자가 일어나지 못할 때 오른쪽으로 눕히는 이유는?

① 영양보호사가 오른쪽에 있기 때문이다.

② 위의 모양이 왼쪽으로 기울어져 영양액이 잘 흘러내려간다.

③ 기도 역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④ 경관영양을 돕는 사람의 편의에 따르기 때문이다.

⑤ 누워있는 침대의 위치에 따라 아무 쪽이나 상관없다.

 

 

 

 

 

 

 

정답확인

6.③ 7.④ 8.④ 9.③ 10.④
11.④ 12.② 13.⑤ 14.④ 15.⑤
16.⑤ 17.② 18.③ 19.② 20.④
21.③ 22.⑤ 23.③ 24.③ 25.④
26.③ 27.③ 28.① 29.① 30.④
31.① 32.④ 33.① 34.③ 35.②
36.① 37.① 38.②    

 

 

반응형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