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1장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8문항)

 

 

 

1. 요양보호사가 대상자를 대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아침식사는 8시예요. 일어나서 식사하셔야 설거지하고 점심식사 준비하지요. 어서 일어나세요."

② "화장실 가려면 어르신도 요양보호사인 저도 고생하니까 그냥 간이변기에 하세요."

③ "어르신! 걸으려면 힘들고, 넘어지면 큰일 나니까 그냥 휠체어 타세요."

④ "눈 깜짝할 사이에 난리를 치는데, 침대에서 떨어지면 누가 책임져요? 이 어르신 보호자 엄청 까칠하거든요."

⑤ "잠을 못 주무셔서 몸이 무거우시지요? 제가 따뜻한 물로 발을 씻겨 드릴게요."

 

 

 

 

2. 억제대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항은?

① 욕창이 잘 생기지 않는다.

② 근력이 좋아진다.

③ 심장기능과 인지기능이 좋아진다.

④ 골다공증이 생기거나 악화한다.

⑤ 관절이 완화되어 효과적일 수 있다.

 

 

 

 

3. 요양보호사가 대상자를 대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눈 깜짝할 사이에 난리를 치는데, 침대에서 떨어지면 누가 책임져요? 이 어르신 보호자 엄청 까칠하거든요."

② "안 묶어 놓으면 소변줄, 콧줄을 잡아 뽑아요. 어쩔 수 없어요."

③ "목욕할 때가 되어 답답하시지요? 개운하게 목욕시켜 드릴게요."

④ "침대 아래로 몸이 내려오면 침대 위에서 겨드랑이를 잡아끌어 올리세요"

⑤ "잘 못 움직이는 분들을 의자에서 일으켜 세우려면 겨드랑이를 잡아 힘껏 올리면 돼요."

 

 

 

 

4. 요양보호사가 대상자를 대면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의 정면이 아닌 옆에서 짧게 힐끗 본다.

② 처음 만났을 때는 상대를 알기까지 쳐다보기만 한다.

③ 대상자가 벽 쪽으로 돌아누워 시선을 피하면 눈을 맞추지 않는 상태에서 "제 눈을 봐주세요."라고 요청한다.

④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의향을 물을 때 '옳은 방법'으로 보아야 한다.

⑤ 대상자를 위에서 내려다본다.

 

 

 

 

5. 요양보호사가 대상자에게 옳게 말하는 방법은?

① 아무 말도 안 하는 대상자에게는 말을 걸지 않는다.

② 항상 부정형 문장으로 이야기한다.

③ 이야기한 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말을 한다.

④ 대상자가 졸고 있을 때는 그 상태에서 말을 시작한다.

⑤ 봐야 할 것을 눈높이에서 보여부며 말을 한다.

 

 

 

 

6. 대상자에게 말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가 기저귀 안으로 손을 넣을 때 "기저귀에 손 넣지 마세요"라고 한다.

② 대상자가 졸고 있을 때는 그 상태에서 말을 건다.

③ 아무 말도 안 하는 대상자에게도 말을 건다.

④ 밥을 먹일 때 "입을 벌리세요"라고 말한다.

⑤ 한 가지 표현을 이해하지 못하면 표현을 바꾸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반복한다.

 

 

 

 

 

7. 대상자와 접촉을 시도할 때 옳은 방법은?

① 손가락만으로 잡는 것이 좋다.

② 넓게 잡으면 대상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서 나쁘다.

③ 약간 억압하는 느낌으로 만진다.

④ 붙잡지 않고 천천히 밑에서부터 받쳐 살짝 힘을 주는 것이 좋다.

⑤ 손바닥이 아니라 손끝을 이용해 접촉한다.

 

 

 

 

 

8. 대상자를 일어서도록 할 때 일어서기의 장점은?

① 골격근의 근력이 나빠진다.

② 뼈와 관절에 힘을 가해 골다공증에 도움이 된다.

③ 호흡기를 자극하여 폐활량이 나빠진다.

④ 순환기를 자극하여 혈액 순환에 장애가 된다.

⑤ 관절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정답확인

1.⑤ 2.④ 3.③ 4.④
5.⑤ 6.③ 7.④ 8.②

 

 

 

반응형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