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10장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77문항)

 

1~10문제

 

1. 식전에 대상자의 입안을 헹구어 주는 목적은?

① 식욕 증진을 위하여

② 음식물 찌꺼기 제거를 위하여

③ 의치 보전을 위하여

④ 입안 상처 치료를 위하여

⑤ 치실을 사용하기 위하여

 

 

 

2. 대상자 입안을 닦아낼 때 혀 안쪽이나 목젖을 자극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은?

① 이명

② 구토

③ 재채기

④ 어지럼증

⑤ 기도경련

 

 

 

3. 대상자의 구강 청결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입안을 닦아낼 때는 혀 안쪽 깊숙이 닦는다.

② 위쪽 이를 닦은 후 아래쪽 이를 닦는다.

③ 대상자를 똑바로 눕힌 자세에서 닦는다.

④ 구강 점막에 염증이 있으면 가는 소금으로 닦는다.

⑤ 일회용 스펀지에 치약을 묻혀 입안을 닦는다.

 

 

 

 

4. 대상자의 구강청결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입안 헹구기는 식사 전에만 하는 것이 원칙이다.

② 치실 사용 후 칫솔질을 한다.

③ 입술이 건조하지 않도록 입술보호제를 발라 준다.

④ 칫솔질은 오랜 시간 하는 것이 좋다.

⑤ 칫솔을 옆으로 강하게 문지르며 칫솔질한다.

 

 

 

5. 누워있는 대상자의 양치질을 도와줄 때 어느 자세가 안전한가?

① 옆으로 누운 자세

② 뒤로 누운 자세

③ 엎드린 자세

④ 서 있는 자세

⑤ 바로 누운 자세

 

 

 

6. 입안을 닦아낼 때 올바를 순서는?

① 아래쪽 이와 잇몸 → 혀  → 윗니와 잇몸  → 입천장

② 윗니와 잇몸  → 입천장  → 아래쪽 이와 잇몸  → 혀

③ 윗니와 잇몸  → 아래쪽 이와 잇몸  → 입천장  → 혀

④ 입천장  →  혀  →  윗니와 잇몸  →  아래쪽 이와 잇몸 

⑤ 아래쪽 이와 잇몸  → 입천장  → 혀  → 윗니와 잇몸

 

 

 

7. 대상자의 입안을 닦아주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윗니를 닦은 거즈로 아랫니도 닦는다.

② 똑바로 누운 자세일 때는 상반신을 낮춰준다.

③ 연하장애가 있는 대상자는 실시하지 않는다.

④ 의식이 없는 대상자는 실시하지 않는다.

⑤ 잇몸, 입천장, 혀 등이 헐었는지 관찰한다.

 

 

8. 대상자의 칫솔질을 돕는 방법은?

① 잇몸에서 치아 쪽으로 닦는다.

② 잇몸을 강하게 문지르며 닦는다.

③ 머리를 뒤로 젖히고 칫솔질을 한다.

④ 앞니는 칫솔모와 90도 각도로 닦는다.

⑤ 치약은 칫솔모 위에 두툼하게 짜 올리고 닦는다.

 

 

9. 대상자의 칫솔질을 돕는 옳은 방법은?

① 혈액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치실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치약의 양이 많을수록 잘 닦아진다.

③ 칫솔질은 잠자기 전에만 하도록 습관화한다.

④ 앉은 자세를 할 수 없을 때 건강한 쪽을 위쪽으로 한다.

⑤ 칫솔질할 때 혀는 닦지 않는 것이 좋다.

 

 

 

10. 칫솔질을 도울 때 칫솔에 치약을 올바르게 짠 경우는?

 

 

 

 

11~20번 문제

 

11. 대상자의 칫솔질을 돕는 옳은 방법은?

① 본인이 할 수 있는 경우에도 도와준다.

② 입안 헹구기는 한 번만 하는 것이 좋다.

③ 잇몸에 출혈이 있으면 연고를 발라준다.

④ 입안에 물을 머금기 힘들어할 때 곡반의 오목한 면이 대상자의 턱밑에 가게 한 후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낸다.

⑤ 앉을 수 없으면 엎드린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12. 의치를 표백제나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닦으면 안 되는 이유는?

①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② 잇몸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③ 잘 세척이 되지 않으므로

④ 감염 염려가 있으므로

⑤ 모양이 변형이 될 수 있으므로

 

 

 

13. 의치 사용 및 관리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아래쪽 의치를 먼저 빼서 의치 용기에 넣는다.

② 아래 의치는 왼쪽을 오른쪽보다 조금 낮게 하여 돌려 뺀다.

③ 의치 세정제 대신 주방세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④ 자기 전에는 의치를 세척하여 다시 끼워준다.

⑤ 부분 의치를 뺄 때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뺀다.

 

 

 

14. 대상자의 의치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의치를 세정제로 세척 후 건조시켜 사용한다.

② 의치를 뺄 때는 아랫니부터 뺀다.

③ 의치를 낄 때는 아랫니를 먼저 낀다.

④ 의치는 표백제에 담가 소독한다.

⑤ 윗니를 끼울 때는 손바닥으로 밀어서 끼운다.

 

 

 

 

15. 대상자의 부분 의치를 빼는 방법은?

① 앞뒤로 움직이면서 뺀다.

② 좌우로 움직이면서 뺀다.

③ 클래스프를 손톱으로 끌어올려 빼낸다.

④ 왼쪽을 낮게 하여 뺀다.

⑤ 오른쪽을 낮게 하여 뺀다.

 

 

 

16. 의치를 보관할 때 물에 담가 보관하는 가장 큰 이유는?

① 소독하기 위해

②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

③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④ 색상의 변화를 막기 위해

⑤ 변형을 막기 위해

 

 

 

17. 잠자기 전에 의치를 빼서 보관하는 이유는?

① 침 분비를 촉진하기 위해

② 잇몸압박자극을 해소하기 위해

③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④ 색상의 변화를 막기 위해

⑤ 변형을 막기 위해

 

 

 

18. 대상자의 의치 관리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의치는 장기간 빼 두는 것이 좋다.

② 칫솔에 의치 세정제를 묻혀 미온수로 닦는다.

③ 의치 삽입 후에 구강세정제로 입을 헹군다.

④ 아랫니는 엄지와 검지로 잡아 엄지가 입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한 번에 끼운다.

⑤ 윗니는 검지가 입안으로 향하게 하여 아래쪽으로 밀어 넣는다.

 

 

 

19. 대상자의 머리를 감기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한 후 자연건조 시킨다.

② 공복이나 식후에 감긴다.

③ 물의 온도는 22~26℃ 정도가 좋다.

④ 감기기 전에 소변을 보게 한다.

⑤ 두피 손상이 있으면 두피보호제를 발라준다.

 

 

 

 

 

20. 대상자의 머리를 감기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젖은 머리는 머리카락을 비벼서 물기를 제거한다.

②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머리를 말리면 안 된다.

③ 환기를 위해 차운을 열어 놓는다.

④ 실내온도는 35 ℃를 유지한다.

⑤ 두피는 손가락 끝으로 마사지 후 헹군다.

 

 

 

 

21~30번 문제

 

21. 침대에 누워 있는 대상자의 머리를 감기기 위해 옳은 방법은?

① 창문을 열어놓는다.

② 이마 위에 수건을 올려 덮는다.

③ 머릿밑에 샴푸 패드를 펴고 물이 흘러내리는 쪽에 양동이를 놓는다.

④ 귀를 솜으로 막아서는 안 된다.

⑤ 방수포 밑에 수건을 깔아준다.

 

 

 

22. 침대에서 대상자의 머리를 감기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베개를 치우고 침대 모서리에 머리가 오도록 한다.

② 차가운 물로 머리를 헹군다.

③ 방수포는 허리 밑까지 깐다.

④ 머릿밑에 패드를 깔고 패드 끝은 매트리스 밑으로 넣는다.

⑤ 목욕담요를 덮고 이불은 어깨까지 덮는다.

 

 

23. 침대에서 대상자의 머리를 감기는 방법은?

① 침대 중앙에 반듯하게 눕힌다.

② 뒷머리는 목을 앞으로 숙여 헹군다.

③ 샴푸를 묻혀 손가락 끝으로 마사지한다.

④ 린스를 한 후 차가운 물로 헹군다.

⑤ 머리카락은 젖은 상태에서 빗으로 정돈한다.

 

 

 

 

24. 대상자의 머리카락이 엉켰을 경우 올바른 손질 방법은?

① 두피를 마사지한다.

② 물을 적신 후 손질한다.

③ 헤어 젤을 발라준다.

④ 엉킨 부분을 가위로 자른다.

⑤ 힘을 주어 빗질을 한다.

 

 

25. 드라이샴푸를 사용하여 머리를 감기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샴푸를 모발에 바르고 수건으로 덮어둔다.

② 샴푸와 물을 1:1로 섞어서 사용한다.

③ 샴푸를 수건에 묻혀 모발을 닦아낸다.

④ 샴푸 거품을 두피에 발라 흡수되게 한다.

⑤ 샴푸를 모발에 발라 거품을 낸 후 닦아낸다.

 

 

 

26. 드라이샴푸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머리를 청결하게 하는 방법은?

① 머리를 물로 적신 후 샴푸를 충분히 발라 준다.

② 샴푸를 바른 후 거품이 나게 마사지한다.

③ 물이 충분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④ 샴푸를 사용한 후 린스로 헹군다.

⑤ 젖은 수건으로 충분히 닦아 준다.

 

 

 

 

27. 드라이샴푸를 사용하여 머리를 청결하게 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샴푸를 손에 적셔 충분히 거품을 낸 후 머리에 바른다.

② 샴푸를 머리에 바르고 30분 후에 닦아낸다.

③ 거품을 머리에 발라 손톱으로 마사지한다.

④ 세정 후 마른 수건으로 머리를 충분히 닦아 말려 준다.

⑤ 모발이 아주 부드러운 경우 샴푸를 물에 타서 사용한다.

 

 

 

 

28. 대상자의 머리를 손질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손질하기 쉽게 머리카락을 짧게 잘라준다.

② 모발 끝쪽에서 두피 쪽으로 빗는다.

③ 가능한 대상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손질한다.

④ 대상자의 기호에 따라 머리 모양을 정리해 둔다.

⑤ 안경과 머리핀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손질한다.

 

 

 

29. 대상자의 손발을 청결하게 하는 방법은?

① 각질이 있는 부위는 오일이나 로션 등을 사용한다.

② 무좀 예방을 위해 모직 양말을 신긴다.

③ 발가락 사이는 소독액으로 씻는다.

④ 발톱 주변에 염증이 있으면 발톱을 짧게 자른다.

⑤ 안쪽으로 파고든 발톱은 알코올로 소독해 준다.

 

 

 

30. 발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식초에 담근다.

② 얼음찜질을 한다.

③ 따뜻한 물에 10~15분 동안 담가 준다.

④ 발톱이 파고들면 짧게 깎는다.

⑤ 발가락 사이를 알코올로 소독한다.

 

 

 

31~40번 문제

 

31. 대상자의 손톱과 발톱을 깎을 때 올바를 모양은?

  손톱 발톱
둥근 모양 둥근 모양
둥근 모양 일자 모양
일자 모양 일자 모양
일자 모양 둥근 모양
삼각 모양 둥근 모양

 

 

 

32. 손톱과 발톱을 깎아 줄 때 가장 옳은 모양은?

 

 

 

 

33. 대상자의 손발을 손질하기 위해 따뜻한 물을 대야에 담은 후 손발을 10~15분간 담근 이유는?

① 소화촉진을 위해

② 무좀예방을 위해

③ 당뇨 예방을 위해

④ 요실금 예방을 위해

⑤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34. 여성 대상자의 경우 방광염, 요로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① 얼굴 청결

② 구강 청결

③ 두발 청결

④ 회음부 청결

⑤ 손발 청결

 

 

 

35. 여성 회음부를 닦는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질 → 요도    항문

② 질   항문   요도

③ 요도   질   항문

④ 항문   요도   질

⑤ 항문   질   요도

 

 

 

36. 여성 대상자의 회음부를 앞에서 뒤쪽으로 닦는 이유는?

① 요도나 질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② 항문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③ 여성의 수치심을 덜어주기 위해

④ 복부 마사지를 위해

⑤ 괄약근을 자극하기 위해

 

 

 

37. 회음부 청결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목욕 담요는 마름모꼴로 펴서 등 밑에 깔아준다.

② 누워서 다리를 쭉 편 상태에서 닦는다.

③ 음부는 비눗물로 닦아서는 안 된다.

④ 남성의 음경은 닦지 않는다.

⑤ 회음부를 닦을 때는 전용 수건을 사용한다.

 

 

 

38. 여성 대상자의 회음부를 청결하게 하는 방법은?

① 대상자를 눕혀서 무릎을 펴도록 한다.

② 둔부 밑에 변기를 넣은 후 방수포를 변기 위에 깐다. 

③ 따뜻한 물을 음부에 끼얹은 다음 닦는다.

④ 회음부를 항문에서 요도 방향으로 닦아낸다.

⑤ 소독제로 손을 닦은 후 멸균 장갑을 착용한다.

 

 

 

 

 

 

 

39. 남성 대상자의 회음부를 청결하게 하는 방법은?

① 차가운 물을 음부에 끼얹은 다음 비누로 닦는다.

② 둔부 밑에 변기를 넣은 다음 변기 위에 방수포를 깐다.

③ 음경을 수건으로 잡고 피부가 겹치는 부분과 음낭의 뒷면을 닦는다.

④ 멸균 장갑을 착용한다.

⑤ 변기를 빼낸 후 둔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수건으로 닦아낸다.

 

 

 

40. 누워있는 대상자를 세수시킬 때 옳은 방법은?

① 가능한 한 눕히고 실시한다.

② 눈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닦는다.

③ 안경은 하루에 한 번 이상 닦는다.

④ 수건의 한 면으로 양쪽 눈을 닦는다.

⑤ 코안은 닦지 않는다.

 

 

 

41~50번 문제

 

 

41. 스스로 세수를 할 수 없는 대상자를 도울 때 옳은 방법은?

① 침대머리를 낮춘다.

② 얼굴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피부유연제를 바른다.

③ 귀 입구의 귀지는 의료기관에서 시행한다.

④ 눈을 닦을 때는 마른 수건을 사용한다.

⑤ 귓바퀴나 귀의 뒷면은 닦지 않도록 한다.

 

 

 

42. 스스로 세수할 수 없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① 한 번 사용한 수건 면을 다시 사용한다. 

② 코, 뺨 쪽에서 눈 밑으로 닦는다.

③ 이마는 머리 쪽으로 쓸어 올리며 닦는다.

④ 목, 귀의 뒷면, 귓바퀴의 순서로 닦는다.

⑤ 면봉으로 귀 안에 있는 귀지를 닦아낸다.

 

 

 

43. 대상자의 얼굴을 닦아주는 순서로 옳은 것은?

① 눈 밑 → 코   뺨   입   턱   귀   목

② 코   뺨   입   턱   귀   목   눈 밑

③ 입   턱   귀   목   눈 밑   코   뺨

④ 뺨   입   턱   귀   코   목   눈 밑

⑤ 턱   귀   목   눈 밑   코   뺨   입

 

 

 

44. 스스로 면도할 수 없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전기면도기 사용을 제한한다.

② 면도기는 공동으로 사용한다.

③ 주름진 피부는 면도하지 않는다.

④ 면도날과 얼굴피부 각도는 90도로 한다.

⑤ 면도 전 따뜻한 물수건을 덮어 건조함을 완화한다.

 

 

 

45. 면도를 할 수 없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가 눕도록 침대머리를 낮춰준다.

② 얼굴 부분에서 목입주위, 턱밑 순서로 진행한다.

③ 면도하면서 상처가 생기면 피부유연제를 바른다.

④ 주름진 피부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면도한다.

⑤ 면도 후 로션을 바를 때는 문지르면서 바른다.

 

 

 

 

46. 스스로 면도할 수 없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면도크림을 수염이 난 방향과 반대로 발라준다.

② 수염의 강도가 강한 부위에서 약한 부위로 실시한다.

③ 면도 중 면도기를 물로 씻어서는 안 된다.

④ 면도 전 차가운 물수건으로 덮어 건조함을 완화시킨다.

⑤ 면도는 수염이 자란 반대방향으로 실시한다.

 

 

 

47. 대상자의 면도를 도울 때 면도하는 방향은?

① 볼 → 얼굴 가장자리   목 입주위   턱밑   콧수염

② 볼   턱밑   얼굴 가장자리   목 입주위   콧수염

③ 목 입주위    턱밑   콧수염   볼   얼굴 가장자리

④ 턱밑   콧수염   볼   얼굴 가장자리   목 입주위

⑤ 콧수염   볼   얼굴 가장자리   목 입주위    턱밑

 

 

 

48. 대상자의 목욕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목욕물 온도는 22~26℃로 맞춘다.

② 식사 직전 또는 직후에 목욕시킨다.

③ 목욕 전에 소변 또는 대변을 보도록 한다.

④ 체온유지를 위해 목욕 중 따뜻한 물을 뿌리지 않는다.

⑤ 몸 씻기 시간은 1시간 정도가 좋다.

 

 

 

49. 대상자의 목욕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창문과 욕실 문을 열어 놓는다.

②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여 욕실 문을 잠근다.

③ 편마비 대상자 이동 시 건강한 쪽에서 도와준다.

④ 몸 헹굴 때 대상자 손등에 대주어 물 온도가 적당한지 확인한다.

⑤ 머리감기를 할 때 가능한 뒤쪽으로 머리를 숙이게 한다.

 

 

 

50.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의 통목욕을 돕는 방법은?

① 사전 대상자에게 목욕 사실을 알릴 필요는 없다.

② 불편한 손으로 손잡이나 보조기구를 잡게 한다.

③ 대상자의 등을 욕조 안벽에 대고 앉게 한다.

④ 팔, 몸통, 회음부, 다리 순으로 닦는다.

⑤ 목욕 후 선 채로 옷을 입힌다.

 

 

51~60번 문제

 

 

51. 일반적인 몸 씻기 시간과 통 목욕시 욕조에 있는 시간은?

  몸 씻기 시간 욕조에 있는 시간
20~30분 5분
50~60분 20~30분
1시간 50분
5분 20~30분
30분~45분 20~30분

 

 

52. 통 목욕을 도울 때 씻기는 순서는?

① 팔 → 몸통   다리  회음부

② 팔  몸통  회음부  발  다리

③ 회음부   다리   몸통

④ 발  다리  회음부  팔  몸통

⑤ 발  다리  팔 몸통  회음부

 

 

 

53 대상자의 통 목욕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마비된 쪽 다리, 건강한 쪽 다리 순으로 옮겨 놓게 한다.

② 욕조에 있는 시간은 20~30분 정도로 한다.

③ 욕조에서 나오기 전에 통 안에서 머리를 감긴다.

④ 말초에서 중심으로 닦는다.

⑤ 목욕 후 수분을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54. 왼쪽 편마비 대상자가 통 목욕을 위해 욕조에 들어갈 때 요양보호사가 돕는 방법은?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  A  ) 겨드랑이를 잡고 (  B  ) 다리, (  C  ) 다리 순으로 옮겨 놓게 한다.
  A B C
왼 쪽 왼 쪽 오른쪽
왼 쪽 오른쪽 왼 쪽
오른쪽 왼 쪽 오른쪽
오른쪽 오른쪽 오른쪽
왼 쪽 오른쪽 오른쪽

 

 

 

55. 편마비 대상자의 통 목욕 시 적합한 요양 방법은?

① 대상자의 손등으로 물의 온도를 확인하도록 한다. 

② 건강한 쪽 발을 먼저 욕조 안으로 들어가게 한다.

③ 30분 정도 욕조 안에 머물게 한다.

④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연다.

⑤ 양쪽 하지는 허벅지에서 발끝 쪽으로 닦는다.

 

 

 

56. 편마비 대상자의 통 목욕 시 낙상 예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를 일어서게 하여 옷을 입힌다.

② 편마비 대상자는 등받이 없는 의자에 앉힌다.

③ 목욕 후 남은 비눗물은 바닥에 그대로 놔둔다.

④ 욕조에 들어갈 때 건강한 쪽부터 움직인다.

⑤ 이동 시 건강한 쪽을 지지하며 이동해야 한다.

 

 

 

 

 

 

 

57. 욕조에서 나온 대상자의 머리를 감길 때 춥다고 할 경우?

① 바로 목욕을 끝낸다.

② 전기 히터를 틀어준다.

③ 다시 욕조로 들어가게 한다.

④ 금방 끝날 것을 알려준다.

⑤ 따뜻한 물을 적신 수건으로 덮어준다.

 

 

 

58. 침상목욕 시 대상자의 몸을 닦아주는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얼굴  → 가슴  → 팔  → 등  → 둔부  → 발  → 음부

② 가슴  → 팔  → 등  → 둔부  → 발  → 음부  → 얼굴

③ 발  → 음부  → 얼굴  → 가슴  → 팔  → 등  → 둔부

④ 팔  → 등  → 둔부  → 발  → 음부  → 얼굴  → 가슴

⑤ 음부  → 얼굴  → 가슴  → 팔  → 등  →둔부  → 발

 

 

59. 침상목욕 시 대상자의 얼굴을 닦는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이마   코   입   목   귀

② 이마   코   입   귀   목

③ 이마   코   귀   입   목

④ 목   입   코   이마   귀

⑤ 목   입   코   귀   이마

 

 

 

60. 침상에 누워있는 대상자의 목욕을 돕는 방법은?

① 눈 주변에는 비누를 사용하지 않는다.

② 다리는 허벅지에서 발끝으로 닦는다.

③ 팔은 겨드랑이에서 손끝으로 닦는다.

④ 복부는 배꼽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닦는다.

⑤ 등과 둔부는 둔부에서 목 뒤까지 닦는다.

 

 

61~70번 문제

 

 

61. 침상목욕 시 대상자의 몸을 닦아주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허벅지에서 발끝 쪽으로 닦는다.

② 겨드랑이에서 손끝 쪽으로 닦는다.

③ 둔부 마사지는 원을 그리는 것처럼 둥글게 닦는다.

④ 둔부에서 목 뒤까지 닦는다.

⑤ 등 마사지는 손바닥으로 위에서 아래쪽으로 한다.

 

 

62. 침상목욕 시 배꼽을 중심으로 한 복부 마사지 방향은?

① 위에서 아래로

② 시계방향으로

③ 시계 반대 방향으로

④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63. 침상목욕을 도울 때 신체 부위(  A  )와 닦는 방향(  B  )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A B
다리 발끝에서 허벅지 쪽으로
유방 목에서 배꼽 쪽으로
복부 배꼽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음부 항문에서 요도 쪽으로
겨드랑이에서 손끝 쪽으로

 

 

 

64. 대상자의 침상목욕을 도울 때 발에서 허벅지 쪽으로 닦는 이유는?

①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

②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③ 피부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해

④ 관절의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

⑤ 정맥 혈액을 심장 쪽으로 보내기 위해

 

 

 

 

65. 대상자의 침상목욕을 도울 때 복부를 배꼽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닦는 이유는?

① 욕창을 예방하려고

② 설사를 예방하려고

③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려고

④ 관절의 변형을 예방하려고

⑤ 정맥 혈액을 심장 쪽으로 보내려고

 

 

 

66. 대상자의 침상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침구는 땀 흡수가 잘 되는 면제품이 좋다.

② 시트 위에 매트리스를 깐다.

③ 침구는 정기적으로 세탁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④ 시트 중앙선이 침대 가장자리에 오도록 한다.

⑤ 덮는 이불은 기온과 상관없이 항상 같은 것으로 한다.

 

 

67. 대상자의 옷을 갈아입힐 때 주의사항은?

① 건강한 쪽부터 벗고, 불편한 쪽부터 입힌다.

② 상의와 하의가 분리되지 않은 것이 좋다.

③ 상의는 앞 단추가 없는 것이 좋다.

④ 허리나 소매는 조이는 것을 선택한다.

⑤ 매직테이프는 단추나 지퍼로 바꾼다.

 

 

 

68. 대상자의 옷을 갈아 입힐 때 주의사항은?

① 신축성이 없는 옷을 선택한다.

② 옷을 갈아입는 동작은 관절운동에 해롭다.

③ 기분상태, 안색, 통증, 어지러움, 열이 있는지는 확일할 필요가 없다.

④ 옷의 색상, 개인의 생활 리듬을 고려한다.

⑤ 옷을 갈아입힐 때 신체 노출은 어쩔 수 없다.

 

 

 

69. 앉을 수 있는 편마비 대상자에게 앞이 벌어진 단추 있는 상의를 벗기는 순서는?

가. 마비된 쪽은 스스로 벗을 수 있게 돕는다.
나. 바닥이나 의자에 낮도록 한다.
다. 단추를 풀고 마비된 쪽 어깨의 옷을 조금 당긴다.
라. 건강한 쪽 소매를 당겨서 벗긴다.

 

① 가 → 다  나  라

② 라  나  가  다

③ 나  다  라  가

④ 다  가  라  나

⑤ 다  나  가  라

 

 

 

70. 앉을 수 있는 편마비 대상자에게 앞이 벌어진 상의를 갈아입히는 방법은?

① 건강한 쪽은 스스로 벗을 수 있게 돕는다.

② 마비된 쪽 소매를 당겨서 벗긴다.

③ 옷을 벗을 때는 마비된 쪽을 먼저 벗는다.

④ 마비된 팔을 잡아당기지 않도록 한다.

⑤ 서서 옷을 입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71~77번 문제

 

71. 앉을 수 있는 왼쪽 편마비 대상자에게 앞이 막힌 상의를 입힐 때 올바른 순서는?

① 왼쪽 팔 → 오른쪽 팔  머리

② 왼쪽 팔  머리 오른쪽 팔

③ 오른쪽 팔 왼쪽 팔  머리

④ 오늘쪽 팔  머리 왼쪽 팔

⑤ 머리 왼쪽 팔 오른쪽 팔

 

 

 

72. 앉을 수 있는 편마비 대상자에게 앞이 막힌 상의를 입히는 순서로 옳은 것은?

가. 건강한 팔을 소매에 끼운다.
나. 마비된 쪽 팔을 먼저 끼운다.
다. 옷의 몸통과 목 부분을 움켜잡아 머리를 끼운다.

 

① 가 → 다 → 나

② 나  가 다  

③ 나  다  가

④ 다  가  나

⑤ 다  나  가

 

 

73. 앉을 수 있는 오른쪽 팔 편마비 대상자에게 앞이 막힌 상의를 벗길 때의 올바른 순서는?

① 왼쪽 팔 → 머리 → 오른쪽 팔

② 왼쪽 팔 → 오늘쪽 팔 → 머리

③ 오른쪽 팔 → 머리 → 왼쪽 팔

④ 오른쪽 팔 → 왼쪽 팔 → 머리

⑤ 머리 → 왼쪽 팔 → 오른쪽 팔

 

 

 

74. 앉을 수 있는 왼쪽 편마비 대상자의 바지를 갈아입힐 때 먼저 벗기고(A), 먼저 입히는 (B) 쪽은?

  A B
왼쪽 왼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양쪽 동시에 양쪽 동시에

 

 

 

75. 똑바로 누워있어 체위변경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앞이 막힌 상의를 벗기는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오른쪽 팔 → 왼쪽 팔 → 머리

② 오른쪽 팔 → 머리 → 왼쪽 팔

③ 왼쪽 팔 → 머리 → 오늘쪽 팔

④ 머리 → 오른쪽 팔 → 왼쪽 팔

⑤ 머리 → 왼쪽 팔 → 오른쪽 팔

 

 

76. 오른쪽 편마비 대상자가 수액을 맞고 있을 때 상의를 입히는 순서는?

① 왼쪽 팔 오른쪽 팔  수액

② 왼쪽 팔  수액 오른쪽 팔

③ 오른쪽 팔 왼쪽 팔  수액

④ 오른쪽 팔  수액 왼쪽 팔

⑤ 수액 왼쪽 팔 오른쪽 팔

 

 

77. 수액을 맞고 있는 대상자의 단추 있는 상의 입히는 순서는?

가. 마비된 쪽 팔에 소매 끼우기
나. 등 뒤쪽에 계단식으로 소매 접어놓기
다. 수액을 소매 안에서 밖으로 통과시키기
라. 건강한 쪽 팔에 소매 끼우기

 

① 라 → 가 → 나 → 다

② 라 → 가 → 다 → 나 

③ 가 → 나 → 다 → 라

④ 다 → 가 → 라 →

⑤ 나 → 라 → 가 → 다 

 

 

 

 

정답확인

1.① 2.② 3.② 4.③ 5.① 6.③ 7.⑤
8.① 9.① 10.③ 11.④ 12.⑤ 13.② 14.⑤
15.③ 16.⑤ 17.② 18.② 19.④ 20.⑤ 21.③
22.① 23.③ 24.② 25.⑤ 26.② 27.④ 28.④
29.① 30.③ 31.② 32.① 33.⑤ 34.④ 35.③
36.① 37.⑤ 38.③ 39.③ 40.③ 41.② 42.③
43.① 44.⑤ 45.② 46.① 47.① 48.③ 49.④
50.③ 51.① 52.② 53.④ 54.② 55.② 56.④
57.⑤ 58.① 59.② 60.① 61.③ 62.② 63.①
64.⑤ 65.③ 66.① 67.① 68.④ 69.③ 70.④
71.② 72.③ 73.① 74.③ 75.① 76.④ 77.③

 

 

반응형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