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10장 4절 체위변경과 이동 (73문제)
1~10번 문제
1. 신체를 움직일 때 뼈대 및 관절의 배열이나 각도 등이 자연스럽고 , 편안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은?
① 체위변경
② 신체정렬
③ 회복자세
④ 응급처치
⑤ 신체적 손상 예방
2. 요양보호사의 올바른 신체정렬 방법은?
① 갑작스러운 동작은 피한다.
② 작은 근육을 사용한다.
③ 대상자로부터 자신의 몸을 멀게 한다.
④ 무릎을 펴고 허리를 구부린다.
⑤ 지지면을 좁히고 무게중심을 낮춘다.
3. 요양보호사가 대상자의 체위변경 시 신체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은?
① 대상자와 자신의 몸을 가능한 한 멀게 한다.
② 무게중심을 상체에 둔다.
③ 자신의 무릎을 곧게 편 상태로 대상자를 든다.
④ 배에 힘을 주고 둔부를 뒤로 뺀 후 상체를 숙인다.
⑤ 발을 벌리고 서서 한 발은 다르 발보다 약간 앞에 둔다.
4. 대상자 이동 시 신체정렬을 유지하는 목적은?
① 신속한 이동을 할 수 있다.
② 관절의 굳어짐과 변형을 예방한다.
③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④ 피로를 증가시킨다.
⑤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
5. 다음과 같이 누워서 엉덩이를 들어 올리는 운동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① 하지 부종 완화
② 욕창 예방
③ 변비 예방
④ 관절 변형 예방
⑤ 침대 위에서 이동 시 신체안정
6. 대상자를 침대 위쪽으로 이동할 때 제일 먼저 해야 하는 동작은?
① 침대를 수평으로 한다.
② 대상자를 돌려 눕힌다.
③ 대상자의 무릎을 세운다.
④ 침대 머리 쪽 난간을 잡게 한다.
⑤ 침상의 머리 쪽으로 베개를 옮긴다.
7.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동 돕기 방법은?
침대 양쪽에 한 사람씩 마주 서서 한쪽 팔은 머릿밑에 넣어 어깨와 등 밑을, 다른 팔은 둔부와 대퇴부 밑에 넣어 반대편 사람과 손을 잡고 신호에 맞춰 두 사람이 동시에 옮긴다.
① 상체 일으키기
② 일으켜 세우기
③ 침대에 걸터앉기
④ 옆으로 돌려 눕히기
⑤ 침대 위·아래쪽으로 이동하기
8. 그림과 같이 대상자가 침대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갔을 때 두 명의 요양보호사가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순서는?
가. 침상의 왼쪽과 오른쪽에 서서 대상자의 어깨와 둔부 밑을 받쳐 머리 쪽으로 이동시킨다.
나. 몸의 자세를 바르게 한다.
다. 대상자의 무릎을 세워 발바닥을 침대에 닿게 한다.
라. 침대를 수평이 되게 한다.
① 가 - 나 - 다 - 라
② 가 - 다 - 라 - 나
③ 다 - 나 - 가 - 라
④ 라 - 나 - 가 - 다
⑤ 라 - 다 - 가 - 나
9. 침대에서 대상자를 옆으로 돌려 눕히려고 할 때 옳은 방법은?
① 요양보호사가 돌려 눕히려고 하는 반대쪽에 선다.
② 엉덩이, 무릎, 머리 순서로 돌린다.
③ 눕히려는 쪽의 손을 아래로 올린다.
④ 돌려 눕히려고 하는 반대쪽으로 머리를 돌린다.
⑤ 어깨와 엉덩이에 손을 대고 옆으로 돌려 눕힌다.
10. 대상자를 침대의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가슴 높이까지 침대를 올린다.
② 요양보호사 반대쪽 침대 난간은 내린다.
③ 팔꿈치를 가슴에, 다른 쪽 팔은 머리 위로 올린다.
④ 한꺼번에 이동한다.
⑤ 요양보호사는 둔부와 종아리 밑에 손을 넣어 이동한다.
11~20번 문제
11. 침대에서 편마비 대상자의 상체를 일으키는 방법은?
① 대상자의 마비된 손을 가슴 위에 올린다.
② 대상자가 마비된 손으로 짚고 일어날 수 있게 한다.
③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불편한 쪽에 선다.
④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발목을 지지하여 일으켜 세운다.
⑤ 대상자의 양쪽 대리를 쭉 펴도록 한다.
12. 침대에서 편마비 대상자의 상체를 일으키는 순서는?
가.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건강한 쪽에 선다.
나. 대상자의 등과 어깨와 엉덩이 또는 넓적다리를 지지하여 일으켜 세운다.
다. 대상자의 마비된 손을 가슴 위에 올려놓는다.
라. 대상자가 건강한 손으로 짚고 일어날 수 있게 한다.
① 가 - 나 - 다 - 라
② 가 - 다 - 라 - 나
③ 다 - 나 - 가 - 라
④ 라 - 나 - 가 - 다
⑤ 가 - 다 - 나 - 라
13. 침대에 누워있는 편마비 대상자의 상체를 일으키는 방법은?
① 양팔을 잡고 당겨 앉힌다.
② 어깨 옷자락을 당겨 앉힌다.
③ 건강한 쪽 팔을 당겨 앉힌다.
④ 등과 어깨 밑 및 엉덩이를 지지하여 앉힌다.
⑤ 머리와 목 밑을 받쳐 앉힌다.
14. 하반신마비 대상자를 침대에서 상체를 일으키는 순서는?
가. 손으로 짚고 일어날 수 있도록 어깨를 지지한다.
나. 대상자의 양쪽 무릎을 굽혀주거나 편안하게 놓아둔다.
다. 일어났을 때 무릎이 굽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라. 요양보호사는 대상자를 향하여 가까이 선다.
① 가 - 나 - 라 - 다
② 라 - 다 - 가 - 나
③ 다 - 나 - 가 - 라
④ 라 - 나 - 가 - 다
⑤ 가 - 다 - 나 - 라
15. 침대에서 생활하는 대상자를 이동하기 위해 침대에 걸터앉히는 순서는?
가. 목 밑과 다리를 지지한다.
나. 돌려 눕히는 방법에 따라 돌려 눕힌다.
다. 요양보호사는 앉히고자 하는 쪽에서 대상자를 향하여 선다.
라. 어깨 쪽 팔에 힘을 주어 일으켜 앉힌다.
① 가 - 나 - 다 - 라
② 가 - 다 - 라 - 나
③ 다 - 나 - 가 - 라
④ 라 - 나 - 가 - 다
⑤ 가 - 다 - 나 - 라
16. 편마비 대상자를 앞에서 보조하여 침대에서 일으켜 세울 때 요양보호사의 무릎으로 대상자 어느 부위를 지지해야 하는가?
① 마비된 쪽 무릎 뒤쪽
② 마비된 쪽 무릎 앞쪽
③ 건강한 쪽 무릎 뒤쪽
④ 건강한 쪽 무릎 앞쪽
⑤ 양쪽 무릎 앞쪽
17. 편마비 대상자를 옆에서 보조하여 일으켜 세울 때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어디를 지지해야 하는가?
① 마비된 대퇴부와 반대쪽 허리
② 건강한 쪽 대퇴부와 같은 쪽 허리
③ 건강한 쪽 대퇴부와 반대쪽 허리
④ 마비된 대퇴부와 같은 쪽 허리
⑤ 마비된 쪽 대퇴부와 반대쪽 어깨
18. 장기간 침상 생활을 하는 대상자의 관절강직이나 변형을 예방하려는 목적은?
① 등 마사지
② 체위변경
③ 억제대 사용
④ 공기침요 사용
⑤ 타력스타킹 사용
19. 침대에서 체위변경을 해야 하는 목적은?
① 호흡 기능 감소
② 관절의 움직임 제한
③ 부종과 혈전 예방
④ 혈액순환 저하
⑤ 허리와 다리의 통증 증가
20. 침대에서 체위변경 시 주의할 사항은?
① 체위변경을 할 때 관절 윗부분을 지지해야 한다.
② 들어간 부분을 베개로 지지해 주면 안 된다.
③ 다리 사이를 수건으로 지지해 주면 편안하다.
④ 고정된 자세는 피부괴사를 방지한다.
⑤ 욕창이 이미 발생한 경우 체위변경을 해서는 안 된다.
21~30번 문제
21. 체위변경 자세와 내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엎드린 자세 → 식사 시나 위관 영양할 때
② 앙와위 → 숨차거나 얼굴을 씻을 때
③ 반좌위 → 휴식하거나 잠을 잘 때
④ 복위 → 등에 상처가 있거나 등 근육을 쉬게 할 때
⑤ 바르게 누운 자세 → 둔부의 압력을 피하거나 관장할 때
22. 편안함을 위하여 무릎과 발목 밑에 동그랗게 말은 수건이나 작은 베개를 받쳐주면 좋은 자세는?
① 복위
② 우측 위
③ 좌측 위
④ 앙와위
⑤ 반좌위
23. 와상(누워 있는) 대상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할 때 올바를 체위는?
① 복위
② 우측 위
③ 좌측 위
④ 앙와위
⑤ 반좌위
24. 등에 상처가 있거나 등의 근육을 쉬게 해 줄 때 취하는 자세는?
① 바로 누운 자세
② 반 앉은 자세
③ 앉은 자세
④ 옆으로 누운 자세
⑤ 엎으린 자세
25. 엎드린 자세에서 허리와 넙다리의 긴장 완화를 위해 작은 베개를 받쳐주는 위치는?
① 복부와 무릎 밑
② 아랫배와 발목 밑
③ 무릎과 발목 밑
④ 가슴과 발목 밑
⑤ 가슴과 복부
26. 엎드린 자세에서 등 근육과 넙다리 근육의 휴식을 위해 베개를 받쳐주는 위치가 올바른 것은?
27. 아랫배와 발목 밑에 작은 베개 등을 받치면 허리와 넙다리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는 체위는?
① 복위
② 우측 위
③ 좌측 위
④ 앙와위
⑤ 반좌위
28. 엎드린 자세(복위)를 취할 때 발목 밑에 베개를 받쳐주는 이유는?
① 허리의 긴장을 완화하려고
②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게 하려고
③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④ 편안함을 위하여
⑤ 숨이 차지 않게 하려고
29. 옆으로 누운 자세(측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등에 상처가 있거나 등의 근육을 쉬게 해 줄 때 취한다.
② 편안함을 위하여 무릎과 발목 밑에 타월이나 작은 베개를 받쳐준다.
③ 발목 밑에 베개를 받쳐 넙다리와 허리의 긴장을 완화해 준다.
④ 엉덩이를 뒤로 많이 이동시켜 주면 자세는 더욱 편안해진다.
⑤ 다리 쪽을 올려주면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고 편안하다..
30. 반 앉은 자세(반좌위)에서 욕창 발생이 생기기 쉬운 부위는?
① 무릎
② 천골부위
③ 생식기
④ 발가락
⑤ 턱
31~40번 문제
31. 대상자를 이동할 때 휠체어를 이용하는 목적은?
① 이동을 통해 생활 범위가 축소된다.
② 근·골격계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③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저해한다.
④ 자립심 회복을 저해한다.
⑤ 혈액순환을 촉진해 준다.
32. 대상자를 이동시킨 후 휠체어를 접는 순서로 옳은 것은?
가. 잠금장치를 잠근다.
나. 발 받침대를 올린다.
다. 팔걸이를 잡아 접는다.
라. 시트 가운데를 잡고 들어 올린다.
① 가 - 나 - 다 - 라
② 가 - 다 - 라 - 나
③ 다 - 나 - 가 - 라
④ 라 - 나 - 가 - 다
⑤ 가 - 나 - 라 - 다
33. 휠체어 이용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불편하지 않도록 몸집보다 큰 것이 좋다.
②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아야 운전하기 편하다.
③ 움직이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를 풀어둔다.
④ 하반신마비 시 1~2시간마다 자세를 바꿔준다.
⑤ 팔걸이, 발 받침대 등이 없는 것이 좋다.
34. 휠체어를 펴는 순서로 옳은 것은?
가. 팔걸이를 잡아 바깥쪽으로 편다.
나. 시트 양쪽 가장자리를 눌러 완전히 편다.
다. 잠금장치를 잠근다.
① 가 → 다 → 나
② 가 → 나 → 다
③ 나 → 가 → 다
④ 다 → 가 → 나
⑤ 나 → 다 → 가
35. 휠체어로 이동 시 작동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오르막길 → 지그재그
② 문턱 → 뒷바퀴 들고
③ 오르막길 → 뒤로
④ 울퉁불퉁 → 뒷바퀴 들고
⑤ 내리막길 → 앞바퀴 들고
36. 대상자를 휠체어에 태우고 승강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뒤로 들어가고 뒤로 나온다.
② 뒤로 들어가고 앞으로 나온다.
③ 앞으로 들어가고 뒤로 나온다.
④ 앞으로 들어가고 앞으로 나온다.
⑤ 지그재그로 들어가고 나온다.
37. 경가사 급하고 넓은 오르막길에서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① 지그재그로 올라간다.
② 앞바퀴를 들고 올라간다.
③ 뒷바퀴를 들고 올라간다.
④ 잠금장치를 잠그고 올라간다.
⑤ 휠체어를 뒤로 돌려서 올라간다.
38. 요양보호사가 대상자를 휠체어에 태우고 문턱을 오를 때 올바른 방법은?
① 지그재그로 올라간다.
② 뒤에서 휠체어를 지탱하면서 오른다.
③ 뒷바퀴를 천천히 뒤로 빼면서 앞바퀴로 이동한다.
④ 휠체어를 뒤쪽으로 기울이고 앞바퀴를 들어 이동한다.
⑤ 휠체어를 앞쪽으로 기울이고 뒷바퀴를 들어 이동한다.
39. 턱이 있는 곳에서 내려갈 때 휠체어 이동 방법은?
① 앞바퀴를 들고 앞으로 내려간다.
② 뒤로 돌려 뒷걸음으로 한 번에 내려간다.
③ 바퀴 한쪽씩 지그재그로 내려간다.
④ 뒤로 돌려 바퀴 한쪽씩 지그재그로 내려간다.
⑤ 뒤로 돌려 뒷바퀴를 먼저 내린 후 앞바퀴를 들어 내려간다.
40. 가파른 내리막길에서 휠체어를 타고 있는 대상자의 이동을 돕는 방법은?
① 휠체어를 뒤로 돌려 지그재그로 내려간다.
② 휠체어를 뒤로 돌려 앞바퀴를 들고 내려간다.
③ 휠체어를 앞으로 하여 똑바로 내려간다.
④ 휠체어를 앞으로 하여 지그재그로 내려간다.
⑤ 휠체어를 앞으로 하여 앞바퀴를 들고 내려간다.
41~50번 문제
41. 휠체어를 지그재그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는?
① 문턱 오를 때, 도로턱 오를 때
② 언덕 내려올 때, 언덕 오를 때
③ 울퉁불퉁 한 길, 언덕 오를 때
④ 도로턱 오를 때, 언덕 오를 때
⑤ 언덕 오를 때, 승강기 탈 때
42. 휠체어를 뒤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는?
① 언덕 오르기, 언덕 내려오기
② 문턱 오르기, 언덕 오르기
③ 문턱 오르기, 언덕 내려오기
④ 문턱 내려올 때, 언덕 오르기
⑤ 문턱 내려올 때, 언덕 내려올 때
43. 다음 그림과 같은 방법으로 휠체어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은?
① 편평한 길을 갈 때, 오르막길을 갈 때
② 경사로 올라갈 때, 내리막길을 갈 때
③ 엘리베이터를 탈 때, 문턱을 지나갈 때
④ 울퉁불퉁한 길을 갈 때, 문턱을 오를 때
⑤ 미끄러운 길을 갈 때, 엘리베이에서 내릴 때
44. 바닥이 울퉁불퉁한 길을 휠체어로 이동 시 옳은 방법은?
① 지그재기로 가기
②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③ 뒷바퀴를 들고 앞바퀴를 이용하여 가기
④ 앞바퀴를 들어 올려 뒤고 젖힌 상태에서 이동
⑤ 휠체어를 뒤로 돌려 뒷걸음으로 이동
45. 휠체어로 울통 불퉁한 길을 이동할 때 앞바퀴를 들어 올리고 뒷바퀴로 이동하는 이유는?
① 힘이 덜 들게 하려고
② 앞바퀴가 빠질 우려가 있으므로
③ 휠체어를 자유롭게 다루기 위하여
④ 대상자가 진동을 느끼지 않게 하려고
⑤ 대상자의 무게중심을 높이기 위하여
46. 휠체어로 승강기를 내리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47. 바닥에 누워있는 대상자를 휠체어로 옮기는 순서는?
가. 건강한 손으로 바닥을 지지하게 한다.
나. 건강한 손으로 휠체어 팔걸이를 붙잡고 앉게 한다.
다. 머리 아래와 등 뒤를 지지한다.
라. 휠체어를 대상자의 건강한 쪽에 비스듬히 놓는다.
① 라 - 나 - 가 - 다
② 가 - 라 - 나 - 다
③ 나 - 가 - 다 - 라
④ 다 - 라 - 나 - 가
⑤ 라 - 다 - 가 - 나
48. 침대에 있는 대상자를 휠체어로 옮기는 순서는?
가. 건강한 다리를 축으로 휠체어 쪽으로 몸을 돌려 앉힌다.
나. 건강한 손으로 침대 바닥을 지지하도록 한다.
다. 이동할 쪽의 침대 난간을 내린다.
라. 건강한 손으로 마비된 팔을 잡아 배 위로 모아주고, 무릎을 세우게 한다.
① 다 - 나 - 라 - 가
② 가 - 라 - 나 - 다
③ 나 - 가 - 다 - 라
④ 다 - 라 - 나 - 가
⑤ 다 - 라 - 가 - 나
49. 편마비 대상자를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휠체어를 놓는 위치와 침대와 휠체어의 각도는?
① 대상자의 건강한 쪽으로 45 º 놓는다.
② 대상자의 건강한 쪽으로 90 º 놓는다.
③ 대상자의 마비된 쪽으로 45 º 놓는다.
④ 대상자의 마비된 쪽으로 90 º 놓는다
⑤ 대사자의 건강한 쪽으로 침대와 나란하게 놓는다.
50. 편마비 대상자를 휠체어에서 침대로 옮길 때 침대와 휠체어의 각도(A) 및 휠체어를 두는 대상자의 방향(B)은?
A | B | |
① | 45º | 불편한 쪽 |
② | 45º | 건강한 쪽 |
③ | 45º | 머리 쪽 |
④ | 90º | 불편한 쪽 |
⑤ | 90º | 건강한 쪽 |
50~51번 문제
51. 왼쪽 편마비 대상자를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휠체어 놓는 위치는?
52. 두 사람이 대상자를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자의 두 팔을 머리 위로 올리게 한다.
② 침상과 평행해지도록 휠체어를 붙여 놓는다.
③ 키가 작고 힘이 약한 사람이 대상자 뒤쪽에 선다.
④ 키가 크고 힘센 사람은 대상자 다리 바깥쪽에 선다.
⑤ 뒤쪽에 있는 사람은 머리를 잡고, 다리 쪽에 있는 사람은 대상자의 허리를 잡는다.
53. 휠체어에서 바닥으로 대상자를 옮기는 순서는?
가. 대상자의 마비 측 옆에서 어깨와 몸통을 지지해 준다.
나. 휠체어 발 받침대를 올려 발을 바닥에 내려놓는다.
다. 바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라. 대상자는 건강한 손을 바닥을 짚고 내려앉는다.
① 가 - 나 - 라 - 다
② 가 - 라 - 나 - 다
③ 다 - 가 - 나 - 라
④ 다 - 나 - 가 - 라
⑤ 라 - 다 - 가 - 나
54. 좌측 편마비 대상자를 휠체어에서 이동변기로 옮길 때 휠체어 위치는?
① 이동변기를 우측 45 º 각도록 비스듬히 놓음
② 이동변기를 좌측 45 º 각도록 비스듬히 놓음
③ 이동변기를 휠체어 정면 앞에 놓음
④ 이동변기를 우측 90 º 각도록 비스듬히 놓음
⑤ 이동변기를 좌측 90 º 각도록 비스듬히 놓음
55. 대상자를 휠체어에서 이동변기로 옮길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① 휠체어의 발 받침대를 세운다.
② 휠체어의 잠금장치를 잠근다.
③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허리를 지지하며 들어 올린다.
④ 요양보호사의 무릎으로 대상자의 불편한 쪽 무릎을 지지한다.
⑤ 좌변기로 이동 후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허리를 잡고 앉힌다.
56. 대상자를 휠체어에서 자동차로 이동시키는 순서는?
가. 안전벨트를 채우고 휠체어를 자동차 크렁크에 싣는다.
나. 대상자의 다리를 한쪽씩 올려놓고 대상자의 엉덩이 또는 상체를 좌우로 이동시켜 자동차 시트에 깊숙히 앉힌다.
다. 자동차의 뒷문을 열고 휠체어를 자동차와 평행하게 놓거나 약간 비스듬히 놓는다.
라. 휠체어 잠금장치를 잠그고 발 받침대를 올린 후 대상자의 두 발이 바닥을 지지하도록 내려놓는다.
① 가 → 나 → 다 → 라
② 다 → 나 → 라 → 가
③ 다 → 가 → 나 → 라
④ 다 → 라 → 나 → 가
⑤ 가 → 라 → 다 → 나
57. 대상자를 자동차에서 휠체어로 이동시키는 순서로 옳은 것은?
가. 대상자 어깨를 지지하면서 대상자 다리부터 밖으로 내린다.
나. 휠체어를 자동차와 평행하거나 조금 비스듬하게 놓는다.
다. 자동차 문을 열어 안전벨트를 푼다.
라. 무릎을 지지하여 휠체어에 앉힌다.
① 가 → 라 → 다 → 나
② 나 → 다 → 가 → 라
③ 나 → 다 → 라 → 가
④ 다 → 라 → 나 → 가
⑤ 라 → 나 → 가 → 다
58. 대상자를 부축하여 걸을 때 방법이다. ( ) 안에 옳은 것은?
대상자 옆에 서서 팔로 ( A )를(을) 껴안듯이 잡고 반대편 손으로 요양보호사의 ( B ) 위에 있는 대상자의 손을 잡고 걷는다.
① A = 가슴, B = 팔
② A = 어깨, B = 허리
③ A = 가슴, B = 손목
④ A = 어깨, B = 손목
⑤ A = 허리, B = 어깨
59. 요양보호사가 대상자를 따라 걸을 때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비스듬히 약 50cm 앞에서 속도로 맞춰 걷는다.
② 마비된 손으로 지팡이를 사용하도록 한다.
③ 앞으로 비스듬하게 (발 앞 15cm, 바깥쪽 옆 15cm 지점) 지팡이 끝을 내민다.
④ 체중이 지장이와 두 다리에 실려 있는 동안 지팡이 앞으로 건강한 쪽 다리를 내딛는다.
⑤ 체중이 불편한 쪽 다리와 지팡이로 지탱되는 동안 지팡이 앞으로 마비된 다리를 옮긴다.
60. 오른쪽 편마비 대상자의 지팡이 사용 시 지팡이 위치로 옳은 것은?
61~73번 문제
61.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대사자를 돕는 방법은?
① 불편한 쪽 손에 지팡이를 사용하도록 한다.
② 지팡이의 끝을 발끝에 놓이게 한다.
③ 방향 전환을 할 때는 불편한 쪽을 지팡이 쪽으로 내밀고 건강한 다리를 이용 반원을 그리며 방향을 바꾼다.
④ 계단 내려갈 때 지팡이보다 불편한 다리를 먼저 옮긴다.
⑤ 계단 오를 때 지팡이보다 건강한 다리를 먼저 올린다.
62. 대상자와 같이 계단을 오르내릴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① 혼자서 일어나는 데 무리가 있을 때 걷기를 시도한다.
② 보행초기에는 혼자서 걷도록 하고 점차, 보행차, 지팡이 등을 이용한다.
③ 지팡이 끝의 고무가 닿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④ 되도록 미끄럼 방지 양말과 신발을 신지 않도록 한다.
⑤ 가능한 전적으로 지지해 준다.
63. 대상자의 지팡이 보행을 도울 때 안전을 위해 지팡이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은?
① 색상
② 재질
③ 청결상태
④ 고무받침
⑤ 크기
64. 편마비 대상자가 지팡이 없이 계단을 올라갈 때 순서는?
① 건강한 쪽 다리 → 건강한 손 계단 잡기 →마비 쪽 다리
② 건강한 손 계단 잡기 →마비 쪽 다리 →건강 쪽 다리
③ 마비된 손 계단 잡기 →마비 쪽 다리 →건강 쪽 다리
④ 마비된 손 계단 잡기 →건강 쪽 다리 →마비 쪽 다리
⑤ 건강한 손 계단 잡기 →건강 쪽 다리 →마비 쪽 다리
65. 오른쪽 다리가 불편한 대상자가 지팡이를 짚고 계단을 올라가는 순서는?
① 오른발 → 왼발 → 지팡이
② 오른발 → 지팡이 → 왼발
③ 왼발 → 지팡이 → 오른발
④ 지팡이 → 왼발 → 오른발
⑤ 지팡이 → 오른발 → 왼발
66. 오른쪽 편마비 대상자가 지팡이 없이 계단을 내려갈 때 순서는?
① 오른손 계단 잡기 → 왼쪽다리 →오른쪽 다리
② 왼쪽 다리 → 왼손 계단 잡기 → 오른쪽 다리
③ 왼손 계단 잡기 → 오른쪽 다리 → 왼쪽 다리
④ 오늘손 계단 잡기 → 오른쪽 다리 → 왼쪽 다리
⑤ 왼손 계단 잡기 → 왼쪽 다리 → 오른쪽 다리
67. 왼쪽 다리가 불편한 대상자가 지팡이를 짚고 계단을 내려가는 순서는?
① 오른발 → 왼발 → 지팡이
② 오른발 → 지팡이 → 왼발
③ 왼발 → 지팡이 → 오른발
④ 지팡이 → 왼발 → 오른발
⑤ 지팡이 → 오른발 → 왼발
68. 편마비 대상자가 지팡이 없이 계단을 올라갈 때 순서는?
가. 건강한 쪽 다리부터 계단을 딛는다.
나. 건강한 손으로 계단 손잡이를 잡는다.
다. 건강한 쪽 다리에 체중을 실어 불편한 쪽 다리를 계단으로 올린다.
① 가 → 나 → 다
② 나 → 다 → 가
③ 다 → 가 → 나
④ 가 → 다 → 나
⑤ 나 → 가 → 다
69. 대상자가 보행기를 이용할 때 팔꿈치를 구부리는 각도와 보행차의 높이는?
각도 | 높이 | |
① | 약 30도 | 허리 |
② | 약 30도 | 엉덩이 |
③ | 약 90도 | 가슴 |
④ | 약 90도 | 허리 |
⑤ | 약 90도 | 엉덩이 |
70. 다리가 모두 불편한 대상자의 올바른 보행기 사용 순서는?
① 보행기 → 오른발 → 왼발
② 보행기 → 양쪽 다리를 함께
③ 오른발 → 왼발과 보행기를 함께
④ 오른발 → 보행기 → 왼발
⑤ 양쪽 다리를 함께 → 보행기
71. 왼쪽 다리가 불편한 대상자의 보행기 사용 순서는?
① 보행기 → 왼쪽 다리 → 오른쪽 다리
② 보행기 → 오른쪽 다리 → 왼쪽 다리
③ 왼쪽 다리와 보행기를 함께 → 오른쪽 다리
④ 오른쪽 다리와 보행기를 함께 → 왼쪽 다리
⑤ 왼쪽 다리 → 보행기 → 오른쪽 다리
72. 보행보조차를 이용하는 편마비 대상자의 보행을 돕는 방법은?
① 요양보호사는 대상자의 건강한 쪽 앞에서 보조한다.
② 먼저 옮긴 발이 나간 지점까지 다른 발을 옮기게 한다.
③ 팔꿈치가 다리와 보행기를 함께 옮기게 한다.
④ 건강한 다리와 보행기를 함께 옮기게 한다.
⑤ 보행차 손잡이와 높이는 팔꿈치가 가슴에 오도록 한다.
73. 보행보조차를 이용하는 대상자의 보행을 도울 때 요양보호사의 위치는?
① 대상자의 뒤쪽에 비스듬히 서서
② 대상자의 건강한 쪽 옆쪽에 비스듬히 서서
③ 대상자의 불편한 쪽 옆쪽에 비스듬히 서서
④ 대상자의 앞쪽에 비스듬히 서서
⑤ 대상자의 불편한 쪽 앞쪽에 비스듬히 서서
정답확인
1.② | 2.① | 3.⑤ | 4.② | 5.⑤ | 6.① | 7.⑤ |
8.⑤ | 9.⑤ | 10.③ | 11.① | 12.⑤ | 13.④ | 14.④ |
15.③ | 16.② | 17.① | 18.② | 19.③ | 20.③ | 21.④ |
22.④ | 23.⑤ | 24.⑤ | 25.② | 26.② | 27.① | 28.① |
29.④ | 30.② | 31.② | 32.⑤ | 33.④ | 34.④ | 35.① |
36.② | 37.① | 38.④ | 39.⑤ | 40.① | 41.② | 42.⑤ |
43.④ | 44.④ | 45.④ | 46.① | 47.⑤ | 48.④ | 50.② |
50.② | 51.① | 52.② | 53.④ | 54.① | 55.② | 56.④ |
57.② | 48.⑤ | 59.③ | 60.② | 61.③ | 62.③ | 63.④ |
64.⑤ | 65.④ | 66.② | 67.④ | 68.⑤ | 69.② | 70.① |
71.③ | 72.② | 73.① |
'요양보호사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 실기대비 문제 / 배설 요양보호 (0) | 2024.02.13 |
---|---|
요양보호사 실기시험 문제 /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0) | 2024.02.12 |
요양보호사시험 실기문제 / 복지용구 (0) | 2024.02.08 |
요양보호사 시험문제 / 일상생활 지원원칙 (0) | 2024.02.07 |
요양보호 예상문제집 / 식사관리 (0) | 2024.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