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5장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1. 소화기계 (25문항)
1~10번 문제
1. 소화기계 질환에 해당한 것은?
① 당뇨병
② 피부건조증, 대상포진
③ 설사, 대장암
④ 동맥경화증, 심부전
⑤ 인플루엔자, 폐렴
2. 노화에 따른 소화기계 특성을 옳게 설명한 것은?
① 당내성 증가
② 약물의 대사능력 증가
③ 위액분비 저하
④ 미각의 예민성 향상
⑤ 소화능력 증가
3. 노화에 따른 소화기계 특징 중 영양부족을 초래하는 이유는?
① 지방의 흡수력 감소
② 대장의 활동성 증가
③ 타액과 위액 증가
④ 호르몬 분비 증가
⑤ 단맛과 쓴맛의 미각 저하
4. 대상자의 소화기계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후각의 감소 여부
② 혼동이나 의식의 변화
③ 근육량과 근력의 감소 여부
④ 속 쓰림, 오심, 구토 증상
⑤ 운동능력 및 감각인지의 변화
5. 노화로 간기능이 변화되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① 당내성 증가
② 타액분비 증가
③ 칼슘흡수 증가
④ 위산 분비 저하
⑤ 약물 대사 능력 저하
6. 트림, 구토, 식사 후 3~4시간이 지나 배가 고프기 시작할 때 명치부위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질환은?
① 위염
② 위궤양
③ 위암
④ 대장암
⑤ 설사
7. 다음은 어떤 질환에 대한 설명인가?
속 쓰림, 소화불량
새벽 1~2시에 발생하는 상복부 불편감
심한 경우 위 출혈, 위 천공, 위 협착
① 위염
② 위궤양
③ 위암
④ 대장암
⑤ 설사
8. 다음은 어떤 질환과 관련 있는가?
⊙ 소화불량, 식욕감퇴, 속 쓰림, 오심, 복구 통증이나 불편감
⊙ 빈혈, 피로, 권태감, 출혈, 토혈, 혈변
⊙ 치료 후 5년간은 병원에서 재발 확인 여부를 위한 정기적인 검진 시행
① 위염
② 위궤양
③ 위암
④ 대장암
⑤ 설사
9. 위암의 증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급속히 진행된다.
② 증상이 잘 나타난다.
③ 식욕이 증가한다.
④ 빈혈, 피로감이 든다.
⑤ 조기진단이 가능하다.
10. 위암의 치료 및 예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담배를 적게 피운다.
② 적당한 스트레스를 유지한다.
③ 헬리코박터균을 치료한다.
④ 간식을 자주 한다.
⑤ 훈연한 음식을 섭취한다.
11~20번 문제
11. 대장암 대상자의 수술 후 제공하는 음식으로 적당한 것은?
① 가공식품
② 통곡식, 생채소
③ 인스턴트식품
④ 훈제요리
⑤ 맵고 짠 음식
12. 대장암 질환이 있는 대상자의 식사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음식을 약간 짜게 먹는다.
② 자극을 주는 찬 음식을 먹는다.
③ 잦은 간식과 늦은 식사를 권장한다.
④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훈연식품을 권장한다.
⑤ 하루에 6~8잔 생수를 마신다.
13. 하루 3회 이상 설사를 하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음식물 섭취량을 늘린다.
② 녹차나 커피를 마시도록 한다.
③ 식물성 식이섬유의 고지방 식이를 제공한다.
④ 몸을 따뜻하게 하고 수분섭취를 늘린다.
⑤ 복부 근육을 증가시키는 운동을 하도록 한다.
14. 설사하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① 하제 제공
② 수분섭취 권장
③ 고지방 식이 제공
④ 고섬유식이 제공
⑤ 복근 강화 운동실시
15. 설사의 치료 및 예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물 섭취를 줄인다.
② 심신을 안정하고 몸을 차갑게 한다.
③ 음식물 섭취량을 늘린다.
④ 장운동을 증가시키는 음식의 섭취를 피한다.
⑤ 지사제 사용을 늘린다.
16. 다음 중 장운동을 증가시키는 음식은?
① 생수
② 쌀죽
③ 고섬유소
④ 보리차
⑤ 저지방 음식
17. 설사하는 대상자를 돕는 방법은?
① 고섬유소 음식을 섭취한다.
② 몸을 시원하게 한다.
③ 우유 섭취량을 늘리게 한다.
④ 물을 충분히 마시게 한다.
⑤ 설사 초기부터 지사제를 복용하게 한다.
18. 대상자에게 변비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은?
① 항암제나 제산제 복용
② 신체활동 증가
③ 복부 근력 강화
④ 수분섭취 증가
⑤ 규칙적인 배변습관
19. 다음 중 노인에게 변비가 잘 발생하는 이유는?
① 규칙적인 운동
② 근육근장도 증가
③ 충분한 수분섭취
④ 지나친 저잔여식이 섭취
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섭취
20. 변비를 예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식물성 식이섬유 섭취를 제한한다.
② 우유 섭취를 권장한다.
③ 그때그때 하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④ 불규칙한 식사 습관을 갖는다.
⑤ 변의가 생기면 참는 연습을 한다.
21~25번 문제
21. 변비가 있는 대상자의 배변을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활동 제한
② 금식
③ 복부 마사지
④ 수분섭취 제한
⑤ 섬유질 섭취제한
22. 변비의 치료 및 예방에 운동이 좋은 이유는?
① 식욕을 줄여 준다.
② 식사량을 줄여 준다.
③ 배변 횟수를 줄여 준다.
④ 대장반사를 줄여 준다.
⑤ 장 운동력을 높여준다.
23. 변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① 수분섭취량을 제한한다.
② 고섬유식이를 섭취한다.
③ 식사량을 반으로 줄인다.
④ 꾸준히 지사제를 복용한다.
⑤ 변의가 있어도 참는 훈련을 한다.
24. 변비의 치료 및 예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유산균이 다량 포함된 음식을 자제한다.
② 우유 섭취를 제한한다.
③ 체조, 걷기 운동, 복부 마사지로 배변을 돕는다.
④ 변비 때마다 하제를 사용한다.
⑤ 변의가 생기면 참았다가 한꺼번에 용변을 본다.
25. 요양보호사 대상자의 질병을 예측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① 조기진단을 내리게 되기 때문
② 책임을 지게 되기 때문
③ 치료 방향을 잡아줘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
④ 민간요법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
⑤ 대상자 및 가족에게 혼란과 걱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
정답확인
1.③ | 2.③ | 3.① | 4.④ | 5.⑤ |
6.① | 7.② | 8.③ | 9.④ | 10.③ |
11.② | 12.⑤ | 13.④ | 14.② | 15.④ |
16.③ | 17.④ | 18.① | 19.④ | 20.② |
21.③ | 22.⑤ | 23.② | 24.③ | 25.⑤ |
'요양보호사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 기출문제 / 요양보호사의 건강관리 및 안전관리 (0) | 2024.02.19 |
---|---|
요양보호사 자격시험 필기 /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0) | 2024.02.19 |
요양보호사 기출문제 / 신체계통별 주요질환 (2.호흡기계) (0) | 2024.02.19 |
요양보호사 기출문제 / 신체계통별 주요질환 (3.심혈관계) (0) | 2024.02.17 |
요양보호사 기출문제 / 신체계통별 주요질환 (4.근골격계)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