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차   례

1부 요양보호와 인권

  1장 요양보호 대상자 이해
     1절 노인과 노화 과정
     2절 노년기의 특성
     3절 가족관계 변화와 노인부양
     4절 대상자 중심 요양보호

  2장 노인복지와 장기요양제도
    1절 사회복지와 장기요양제도
    2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3절 요양보호 업무

  3장 인권과 직업윤리
    1절 노인의 인권보호
    2절 노인학대 예방

  4장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1절 요양보호사의 인권 보호
    2절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3절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

2부 노화와 건강증진

  5장 노화에 따른 변화와 질환
    1절 노화에 따른 변화와 노인성 질환의 특성
    2절 신체계통별 주요 질환
    
  6장 치매 뇌졸중 파킨슨질환
    1절 치매
    2절 뇌졸중
    3절 파킨슨 질환

  7장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절 영양과 운동
    2절 수면과 성생활
    3절 약물사용, 금연과 절주
    4절 예방접종, 온열·한랭질환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
    3절 여가활동 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2절 업무보고, 업무회의

  10장 신체활동 지원
    1절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
    2절 배설 요양보호
    3절 개인위생 및 환경관리
    4절 체위변경과 이동
    5절 복지용구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1절 일상생활 지원 원칙
    2절 식사관리
    3절 식품·주방위생관리
    4절 의복 및 침상청결 관리
    5절 세탁하기
    6절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7절 주거환경관리

4부 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12장 치매 요양보호
    1절 치매 대상자와 가족
    2절 치매 대상자의 일상생활 지원
    3절 치매 대상자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4절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5절 인지자극 훈련


  13장 임종 요양보호
    1절 임종기 단계별 지원
    2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


14장 응급상황 대처 및 감염관리
    1절 위험 및 위기대응, 감염예방
    2절 응급처치
    3절 심폐소생술

 

 

 

 

 

요양보호사 2024 개정 예상문제

 

 

 

 

 

7장 4절 예방접종, 온열 · 한랭질환 (10문항)

 

 

1. 인플루엔자 백신의 정기적인 예방접종 주기는?

① 1년

② 2년

③ 6개월

④ 3개월

⑤ 1개월

 

 

 

2. 파상풍 백신의 정기적인 예방접종 주기는?

① 1년

② 2년

③ 3년

④ 5년

⑤ 10년

 

 

 

3. 노인에게 권장되는 예방접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폐렴구균은 매년 1회 접종한다.

② 결핵은 10년마다 1회 접종한다.

③ 파상풍을 5년마다 1회 접종한다.

④ 디프테리아는 3년마다 1회 접종한다.

⑤ 대상포진은 60세 이후에 1회 접종한다.

 

 

 

4. 감염병 예방접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상포진은 1회 접종 후 10년마다 추가접종이 필요하다.

② 독감은 3년마다 1회 접종한다.

③ 백일해는 매년 접종한다.

④ 폐렴구균은 보통 65세 이상에서 필요하다.

⑤ 디프테리아는 평생 1회만 접종한다.

 

 

 

 

5. 여름철 폭염에 대응하는 생활안전 수칙은?

① 물을 평소보다 많이 마신다.

② 지방이 많은 음식을 섭취한다.

③ 실내 운동을 삼가고 실외 운동을 한다.

④ 외출 시 챙이 좁은 모자를 쓴다.

⑤ 현기증이 있으면 뜨거운 차를 마신다.

 

 

 

6. 땀을 많이 흘린 뒤 발생하며, 심한 갈증, 피로감, 현기증, 식욕감퇴, 두통, 구역, 구토 등이 생길 수 있는 질환은?

① 열사병

② 열탈진

③ 열경련

④ 열발진

⑤ 열성부종

 

 

 

7. 대음 증상과 관련 있는 질환은?

⊙ 40℃가 넘는 체온(직장온도)
⊙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
⊙ 중추신경 기능장애, 혼수상태, 헛소리
⊙ 오한, 심한 두통, 빈맥, 빈호흡, 저혈압

 

① 열사병

② 열탈진

③ 열경련

④ 열발진

⑤ 열성부종

 

 

 

8. 한랭질환의 예방수칙으로 옳은 것은?

① 실외 운동을 한다.

② 가급적 추운 날에는 야외활동을 한다.

③ 얇은 옷을 걸쳐 입는 것보다 두꺼운 옷 한 벌을 입는다.

④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를 착용한다.

⑤ 가벼운 슬리퍼를 착용한다.

 

 

 

9. 다음 중 한랭질환에 해당한 것은?

① 열사병

② 열탈진

③ 저체온증

④ 열발진

⑤ 열성부종

 

 

 

10. 한랭질환의 증상 및 대처 방안으로 옳은 것은?

① 저체온증환자는 단 음식을 섭취하지 않게 한다.

② 동상은 동상 부위를 차가운 물에 담그도록 한다.

③ 심혈관질환자는 겨울철 야외활동을 권장한다.

④ 저체온증의 경우 젖은 옷을 벗기지 말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⑤ 동상은 단단해지며 피부감각이 저하되어 무감각해진다.

 

 

 

 

 

정답 확인

 

1.① 2.⑤ 3.⑤ 4.④ 5.①
6.② 7.① 8.④ 9.③ 10.⑤

 

 

 

 

 

반응형
글 보관함
반응형